임지민 기자
국가유산청은 18일 고도 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고령 대가야'를 우리나라의 다섯 번째 고도(古都)로 최종 지정했다고 밝혔다.
고령 시가지와 주산성 전경2004년 경주, 부여, 공주, 익산 등 4개 도시가 동시에 고도로 지정된 이후 20년 만에 이뤄진 이번 지정은 지난해 7월 고도보존육성중앙심의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됐다.
문헌기록과 고고학적 연구에 따르면, 대가야는 왕위 세습체계와 중국식 왕호 사용, 예악문화(가야금과 우륵 12곡), 시조탄생 신화, 매장의례 등을 갖춘 중앙집권적 국가였다. 5세기 후반에는 현재의 고령을 중심으로 합천, 거창, 함양, 산청, 하동, 남원, 순천, 광양 등까지 영토를 확장했으며, 고구려, 백제, 신라에 버금가는 강국으로 발전했다.
고령에는 대가야의 도성 체계를 보여주는 궁성지와 왕궁 방어성인 주산성, 수로 교통유적이 남아있다. 또한 금관과 '대왕(大王)명' 토기, 토기 가마 등 유물도 다수 발견됐다. 특히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지산동 고분군'을 비롯한 유·무형의 문화유산이 잘 보존되어 있어 높은 역사적·학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고도로 지정된 지역에 대해 주거환경과 가로경관 개선 사업, 주민참여프로그램 지원, 세계유산 탐방거점센터 건립, 역사문화공간조성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 고도 지정을 통해 고령 대가야의 역사적 가치를 국내외에 알리고, 관광과 문화산업 활성화를 통한 지역경제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 고령 지역의 유·무형유산을 효율적으로 보존·관리하고 육성하여 고도의 역사적 정체성을 밝히고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