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수 기자
고용노동부와 네이버㈜는 2월 18일 경기도 성남시 네이버 그린팩토리에서 IT 산업 중장년 근로자의 재취업 지원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맞춤형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취업 연계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네이버와 고용노동부가 18일 IT업계 맞춤형 재취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왼쪽부터) 고용노동부 김민석 차관, 네이버 교육센터 공기중 센터장
이번 협약은 빠른 기술 변화로 인해 상시적인 이·전직이 발생할 수 있는 IT 산업의 특성을 고려해, 체계적인 재취업 지원 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추진됐다. 협약식에는 김민석 고용노동부 차관과 네이버 교육센터 공기중 센터장을 비롯한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네이버는 자사의 온·오프라인 교육 플랫폼과 사내 전문인력을 활용해 IT 산업 중장년 근로자를 위한 맞춤형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할 예정이다. 특히 개발직군 취업, 창업, 컨설턴트 전직 등 근로자의 희망 이·전직 분야별 직무교육과 함께 취업 연계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중장년 근로자의 직무 역량과 재취업 가능성을 동시에 높일 계획이다.
정부는 이러한 기업의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맞춤형 재취업 훈련을 실시하는 기업에 훈련 운영 비용을 지원하고, 교육 참여 중장년을 채용하는 기업에는 채용장려금을 지원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모델을 다른 산업 분야로 확산시켜 노동시장 전반에서 중장년의 역할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정부는 또한 중장년 근로자의 생애주기별 일자리 지원체계 구축에도 나선다. 40대부터는 제2의 근로생애를 준비할 수 있도록 경력 재설계를 지원하고, 50대는 2차 베이비부머의 특성과 선호를 고려한 유망자격형, 경력전환형, 경력이음형 일자리를 발굴해 신속한 재취업을 돕는다. 60세 이후에도 안정적인 근로가 가능하도록 계속고용 제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네이버 교육센터 공기중 센터장은 "네이버는 SME 및 창작자의 스케일업, 미래 세대 AI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여러 세대의 이용자들과 동반성장을 이어왔다"며 "이번 협약으로 인터넷 플랫폼 산업에 특화된 지원책을 마련해 업계의 안정적인 고용 문화 조성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민석 고용노동부 차관은 "높은 수준의 체력·경력·학력을 갖춘 중장년들이 노동시장에서 원하는 만큼 일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개인의 삶의 질과 국가 경제 활력을 함께 높일 수 있는 중요한 과제"라며 "근로자가 40대부터 미리 생애 경력을 설계하여, 50대에는 원하는 일자리에 빠르게 재취업해, 60세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에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