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청년친화도시 첫 지정...서울 관악구 등 3곳 선정 - 청년 참여 기반 지역특화 모델 발굴...인재양성·문화복지·지역특화형으로 각각 지정 - 5년간 재정 지원 및 정책 수립 자문...타 지자체 확산 기대

김호은 기자

  • 기사등록 2025-02-11 15:35:02
기사수정

정부가 「청년기본법」에 근거해 청년 발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청년친화도시'로 서울 관악구와 부산 부산진구, 경남 거창군 등 3곳을 최초로 지정했다.

 

정부가 「청년기본법」에 근거해 청년 발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청년친화도시'로 서울 관악구와 부산 부산진구, 경남 거창군 등 3곳을 최초로 지정했다. 

방기선 국무조정실장은 2월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3개 지자체에 청년친화도시 지정서를 수여했다. 이는 지난해 9월 법적 근거가 마련된 이후 처음으로 이뤄진 지정이다.


청년친화도시는 청년의 적극적인 참여를 토대로 청년 발전과 역량 강화를 도모하고, 청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역을 조성하는 제도다. 국무조정실은 매년 최대 3개 자치단체를 선정해 5년간 지정하며, 지정된 자치단체에는 지역 특성을 반영한 청년정책 추진을 위한 재정 지원과 함께 정책 수립 역량 강화를 위한 자문과 교육을 제공한다.


이번 선정은 청년정책 분야별 전문가와 청년으로 구성된 평가위원회의 서면평가와 현장평가를 거쳐 이뤄졌다. 평가 결과 서울 관악구는 인재양성형, 부산 부산진구는 문화·복지형, 경남 거창군은 지역특화형 모델로 각각 선정됐다.


서울 관악구는 청년인구 비율이 전국 1위(41.4%)인 지역으로, 우수한 인재와 기술력을 결합한 청년창업과 인재양성 중심의 지역 활성화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특히 서울대학교 캠퍼스타운과 연계한 '관악S밸리' 조성을 통해 벤처·창업기업을 유치하고, 청년취업사관학교 등을 통해 미래 산업 수요에 대응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부산 부산진구는 유동인구가 전국 3위인 서면을 중심으로 청년 문화를 활성화하고 있다. 전포 카페거리와 e-스포츠 경기장을 통해 청년 여가활동을 증진하는 한편, 청년공간 '와글와글 플랫폼'과 청년마음건강센터 '청춘소설'을 통해 니트족과 고립·은둔 청년들의 자립역량 강화와 정신건강 지원에도 주력하고 있다.


경남 거창군은 지역 자원을 활용한 농촌형 청년친화도시 모델을 제시했다. 경영 실습농장 임대를 통해 영농 창업 기반을 제공하고, 청년 농업인 공동체와 협력해 귀농 청년의 안정적 정착을 지원한다. 또한 청년문화 거점공간 '거창청년사이'를 통해 청년들의 의견을 정책에 적극 반영하고 있다.


방기선 국무조정실장은 "3개 지역 모두 지역 특성을 살린 청년친화적 정책 모델이 돋보였다"며 "정부는 지정된 자치단체에 대한 지원을 통해 지역 맞춤형 청년정책을 수립하도록 돕고, 우수사례가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50401
  • 기사등록 2025-02-11 15:35:02
책-퇴진하라
책-보수의종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