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정부, AI 3대 강국 도약 위해 1.8만장 GPU 등 역량 총동원 - 2026년까지 고성능 GPU 1.8만장 확보...민간 AI 데이터센터 투자 활성화 추진 - '월드 베스트 LLM 프로젝트' 통해 글로벌 수준 AI 모델 개발 지원 - 2027년까지 AI 유니콘 5개 육성...정책금융 5.7조원 투입

임지민 기자

  • 기사등록 2025-02-20 12:13:48
기사수정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는 2월 20일 서울스퀘어에서 열린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컴퓨팅 인프라 확충, 핵심인재 양성, 스타트업 육성 등을 포함한 범정부 차원의 AI 생태계 혁신방안을 발표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월 20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열린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 참석,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정부는 미국, 중국과의 치열한 글로벌 AI 경쟁에서 우리나라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기 위해 세계 수준의 AI 모델 개발과 최고급 인재 양성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AI국가대표 정예팀'을 선발하여 글로벌 최고 수준의 대형언어모델(LLM) 개발을 목표로 하는 '월드 베스트 LLM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데이터와 GPU 등 연구자원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위해 2026년 상반기까지 국가AI컴퓨팅센터와 슈퍼컴 6호기에 총 1.8만장 규모의 고성능 GPU를 확보한다. 연내 1만장을 우선 확보하고, 2026년 상반기까지 슈퍼컴 6호기를 통해 8천장을 추가로 도입할 예정이다. 또한 AI를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하여 세제 지원을 강화하고, 전력·입지 관련 제도 개선을 통해 민간 AI 데이터센터 투자를 활성화한다.


정부는 AI 인재 확보를 위해 'AI분야 글로벌 AI챌린지' 개최를 추진하고, 미국에 이어 유럽 등으로 '글로벌 AI 프론티어 랩'을 확대할 계획이다. 산학 협력형 AX 대학원 신설도 추진하여 기업이 필요로 하는 AI 융합 인재를 양성한다.


AI 데이터 확충을 위해 기존 자율주행 분야에만 허용되던 비정형 원본데이터 활용을 사회적·산업적으로 필요한 분야로 확대한다. 의료, 국방 등 민감분야의 합성데이터와 생성형 AI 고도화를 위한 미디어, 산업·제조, 금융 등 분야별 특화 데이터도 구축·개방할 예정이다.


정부는 2027년까지 AI 유니콘 기업 5개 육성을 목표로 제조 AI 전문기업 100개를 지정하여 기업당 최대 100억원 규모의 융자·보증 등 자금을 지원한다. 2025년에는 정책금융 5.7조원을 AI·반도체 등 혁신성장 분야에 집중 투입하고, 2027년까지 약 3조원 규모의 AI 집중펀드를 조성·운용할 계획이다.


최상목 권한대행은 "글로벌 AI환경이 급변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지만, 우리에게는 새로운 기회"라며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민관이 힘을 모아 국가 AI역량 강화를 빠르게 추진해야 할 중대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50690
  • 기사등록 2025-02-20 12:13:48
책-퇴진하라
책-보수의종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