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디네 앙 블랑, 서울 참가자 등록 성황리에 진행 중 - 2017년 시크릿 만찬 장소에 대한 관심 고조… 행사 당일 공개

임지민 기자

  • 기사등록 2017-05-15 12:12:42
기사수정

순백의 향연 ‘디네 앙 블랑’이 2주 앞으로 다가왔다. 도심 속 천사들의 만찬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27일 서울 행사의 참가 등록이 성황리에 진행 중이다. 

디네 앙 블랑은 비밀에 감춰진 파티 장소, 파티에 필요한 모든 장식 아이템과 머리부터 발끝까지(헤드 투 토우) 화이트로 스타일링 하는 드레스 코드 화이트 등을 참가자들과 약속하고 있다. 기존 축제나 이벤트와 달리 음식, 테이블, 의자 등 필요한 모든 것을 직접 준비해오는 BYO(Bring Your Owns)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도 특징이다. 파티 준비과정 자체가 행사의 일부가 되고 모든 참가자들이 자신의 패션, 요리, 테이블 세팅 실력을 발산하고 공유하는 자리가 된다. 

이러한 디네 앙 블랑만의 독특한 파티 코드는 자칫 부담을 줄 수도 있지만 비밀의 만찬을 위한 ‘007작전’을 연상케 하며 색다른 경험을 추구하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새로운 트렌드로 번지고 있다. 준비된 환경 안에서 즐기는 일반 행사와 달리 참가자들이 능동적 주체로서 행사를 완성할 수 있다는 점이 색다른 즐거움을 제공한다. 

냅킨을 흔들며 장관을 이루는 순백의 물결로 파티가 시작돼 식사와 함께 라이브밴드의 공연이 이어진다. 특별한 순간을 기념하는 스파클러 점화 후에는 애프터 파티도 진행돼 다이닝 그 이상, 오감이 즐거운 ‘이터테인먼트(Eatertainment; Eat과 Entertainment의 합성어)’를 경험할 수 있다. 이번 디네 앙 블랑 서울에서는 라이브밴드 ‘불나방스타쏘세지클럽’과 jtbc <비정상회담>에서 이름을 알린 벨기에 출신 DJ 줄리안 퀸타르트가 공연을 이끈다. 

디네 앙 블랑 서울 참가를 원한다면 누구나 디네 앙 블랑 공식 홈페이지에서 대기자 명부에 이름과 메일주소를 등록하고 선착순으로 발급된 초청코드를 입력하면 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667
  • 기사등록 2017-05-15 12:12:42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추미애와 김부겸의 동병상련 손학규도, 김부겸도, 추미애도 운발이 나빴을지 모른다. 하지만 어쩌겠는가? 오심도 경기의 일부이듯, 운도 실력의 불가피한 구성요소인걸. 민주당 계열 정당에서 주류로 계속 군림하기란 그만큼 힘겹다는 의미이다. 물론, 세 번의 시험 모두에 깔끔하고 완벽하게 통과하고서도 범털이 되지 못하고 만 인간들도 여의도 정치권에는 부지기수...
  2. 윤 대통령, "국가·국민 위해 파이팅하자…한몸으로 뼈가 빠지게 뛰겠다" 윤석열 대통령은 30일 국민의힘 22대 국회의원에게 "앞으로 4년 동안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으로서 국가와 국민을 위해 파이팅 해달라"고 당부했다.윤 대통령은 이날 국민의힘 국회의원 워크숍에 참석해 "여러분 한 분 한 분이 당과 국가의 귀중한 자산"이라며 이같이 말했다.윤 대통령은 "오늘 여러분을 보니 정말 스트레스가 풀리고 힘이 난다...
  3. '한일중 회의체' 정례화 복원…"한반도 문제 정치적 해결 노력" 한국과 중국, 일본이 3국 정상회의를 다시 정례화하기로 했다. 지난 4년 5개월 동안 중단됐던 3국 정상회의를 재개함으로써 3국 협력체제의 복원과 정상화에 합의한 것이다.한반도 비핵화 문제에는 정치적 해결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기로 했지만, 한일 양국과 중국의 입장이 달라 구체적인 해법에 대한 합의는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4. 정부, 4일 '의료 현안 브리핑'...전공의 사태 '출구전략' 나오나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사태가 석 달 넘게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사태를 일단락시키기 위해 이들의 사직서 수리와 행정처분 등 구체적인 방안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조규홍 장관은 오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39;의료개혁 관련 현안 브리핑&#39;을 개최한다. 이날 브리핑에서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사태와 ...
  5. 경기 일부지역 전세가율 80~90% 등 상승세...깡통전세 우려 최근 3개월 동안 경기도 내 일부지역의 아파트와 연립·다세대의 전세가율(주택매매가격에 대비한 전세가격의 비율)이 80~90%를 넘자, 경기도가 ‘깡통전세’ 위험이 있다며 임차인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경기도는 한국부동산원의 매매·전세 실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 4월 기준 최근 3개월간 아파트, 연립·다세대 전세...
포커스 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