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내 예방접종률 생후 12개월 96.8% 등 매년 상승 - 질병관리본부, ‘2018년 전국 어린이 예방접종률 현황’ 발표

정지호 기자

  • 기사등록 2019-07-24 14:18:17
기사수정

국내 예방접종률이 매년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연령대의 접종률이 높은 지역은 울산이었으며, 접종률이 낮은 곳은 서울인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본부는 국가승인 통계인 ‘2018년 전국 예방접종률 현황’에서 국내 연령별 예방접종률이 생후 12개월 96.8%, 생후 24개월 94.7%, 생후 36개월 90.8%, 생후 72개월 88.3%였으며, 매년 예방접종률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국가별, 백신별 예방접종률. 생후 36개월 어린이 기준. (사진 = 질병관리본부 제공)

백신별 접종률은 만 1세 이전에 접종하는 결핵, B형간염이나 접종횟수가 적은 수두, 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백신의 접종률이 97~98%로 높게 나타났다. 


17개 광역자치단체별 예방접종률의 경우 전 연령대의 접종률이 높은 지역은 울산이었으며, 접종률이 낮은 곳은 서울로 나타났다.


연령시기별 예방접종률은 만 1세 접종률은 94.8~98.3%, 만 2세 93.0%~96.2%, 만 3세 88.9%~92.7%, 만 6세는 85.7~ 90.5%로 나타났다.


만 1~3세 연령별 완전접종률은 2017년 대비 0.2~0.6%p 증가하였으며, A형간염 백신 추가로 총 접종 횟수가 2회 증가한 만 3세 완전 접종률도 0.4%p 증가했다. 


특히, 올해 처음 공표되는 A형간염백신의 접종률은 95.3%로 국가예방접종으로 무료지원되기 전의 84.7%보다 10%p 이상 증가하였으며, 2017년 첫 공표되었던 폐렴구균백신의 접종률은 96.8%에서 97.2%로 0.4%p 증가했다.


연령대별 접종률은 전년도와 동일하게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생후 72개월의 경우 접종 간격이 일정치 않고 기초접종과 추가 접종의 간격이 긴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백신의 접종률 94.0%, 일본뇌염 백신 접종률 93.5%로 다른 백신의 평균 접종률 약 96%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통계는 2012년, 2015년~2017년에 출생한 전국 170만 명을 대상으로, 2019년 6월 30일까지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통합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접종기록을 분석한 국가승인 통계다. 


올해는 만 1~3세 아동에서 만 6세까지로 공표대상을 확대해 예방접종 기록을 분석했으며, 2012년생이 만 12세가 되는 2025년에는 만 12세 어린이까지 포함한 예방접종률을 공표할 계획이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우리나라 어린이의 높은 예방접종률은 단체생활에 의한 감염병 유행을 막을 수 있는 수준의 높은 집단면역 보호체계를 갖췄다는 것을 의미한다”라며 “접종을 완료하지 않은 아동에 대한 미접종 사유 분석과 지자체 접종률 관리를 위한 협력 및 정보 환류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4117
  • 기사등록 2019-07-24 14:18:17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