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중구, 출산장려 프로젝트 - 임산부 영유아 가정방문 건강관리 서비스 실시

이승민 기자

  • 기사등록 2014-05-30 16:26:38
기사수정

중구(구청장 권한대행 김찬곤)는 방문간호사들이 임산부와 영유아 가정에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을 전국 최초로 6월부터 실시한다.

별도의 간호사들을 채용해 시범적으로 실시하는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있으나 기존 방문간호사들을 활용하여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중구가 전국에서 최초다.

서비스 대상은 임산부와 24개월 이내의 영유아 가정이다. 서비스를 원하는 가정은 중구보건소 건강관리과 방문간호팀으로 신청하면 된다.

지금까지는 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취약계층 위주의 방문보건 사업을 시행해 왔으나 임산부와 영유아로 범위를 확대해 생명의 출발점에서부터 건강한 출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 특징. 또한 보건소 방문으로만 소극적으로 이루어지던 것에서 가정을 직접 찾아가 1대1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임산부·영유아 건강관리 패러다임을 바꾼 것도 특색이다.

이를 위해 지난 해 3월부터 보건소를 내방하는 임산부들을 대상으로 시범 사업을 실시했다.

동 담당 방문간호사가 임산부와 영유아가 있는 가정을 찾아가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임산부 산전관리·모유수유 방법·영유아 성장 및 발달 평가·안전사고 예방·예방접종 일정 안내 등 각 상태에 알맞은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한국 실정을 잘 모르는 다문화가정의 임산부, 아이들이 보건소에서 제공하는 예방접종, 건강검진 등을 일정에 맞춰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은 큰 인기를 모으고 있다.

엄마와 아이의 애착관계 형성에 도움을 주는 아기 마사지법과 아이의 성장 과정에 따른 이유식, 놀이법, 건강체크 포인트, 지식이 부족해 실패하는 모유수유 성공법에 대한 1대1 서비스도 예비 엄마 아빠들로부터 만족도가 매우 높다.

올 5월에는 서울대 간호대학 이인숙 교수와 협력해 중구 방문간호사 8명이 직접 임산부·영유아 방문건강관리 매뉴얼을 제작했다.

방문간호사들은 선진국, 국내외 사례를 검토하고 서울대 간호대에서 개발한 실질적 전문교육과정(120시간)을 전부 이수해 역량을 높였다.

첫발을 뗀 매뉴얼 초안은 방문간호사들이 실무를 하며 오류사항과 부족한 점을 채워나갔다. 그래서 이론에 치중한 다른 매뉴얼과 달리 사업 체계를 한눈에 볼 수 있고 직무의 표준화로 어느 방문간호사들이라도 곧바로 시행할 수 있도록 현장 중심인 것이 특징이다.

매뉴얼은 전국 255개 보건소로 배부됐는데 다른 지방자치단체에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보건복지부의 관심이 남다르다. 지역사정에 밝은 기존 방문간호사들을 활용한 중구의 임산부·영유아 통합 건강관리 모델이 출산장려정책의 한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13421
  • 기사등록 2014-05-30 16:26:38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