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회의원 김용익> 친노 환원주의를 버리자

정지호 기자

  • 기사등록 2015-05-24 15:23:17
기사수정

최근 우리 당에서 ‘친노’ 문제가 다시 심각하게 거론되고 있다.
나는 참여정부 청와대의 사회정책수석비서관 출신이라서 소위 ‘친노’로 분류되어 있으나 당내 정치 문제에 대해 객관적인 시각을 유지하려고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언론과 당 내부에서 ‘친노’에 대해 지나친 오해가 있는 것 같아 나의 의견을 말씀드리고자 한다.

‘친노’에서 패권주의는 존재하지 않는다. 과거의 ‘친노’가 어떤 행태를 보였는지는 내가 국회에 들어오기 전이라 단언할 수 없으나, 적어도 현재의 ‘친노’에서 패권주의나 우월주의는 찾아 볼 수 없다. “앞으로의 공천에서는 일정한 공천규칙을 만들고 이에 모든 당원이 승복해야 한다. 이에는 당연히 친노 성향의 의원과 당원도 포함된다.” 이것이 ‘친노’ 의원들의 공통된 생각이다.

지난번 당직 인선에서도 패권주의가 아닌 탕평주의 원칙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계파 구조 때문에 이 ‘탕평주의’가 계파별 안배에 그치고 말았다. 좋은 탕평주의는 ‘계파별 탕평’이 아니라 ‘능력별 탕평’이다. 앞으로의 당무 집행에서는 ‘능력별 탕평주의’가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당의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

당은 유능한 후보를 공천해야 하고 유능한 사람을 당직에 임명해야 한다. 이 기준에 맞도록 자기 자신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을 하는 것이 현대적인 정당의 당원이 해야 할 당연한 의무이다. 물론 이 기준을 만드는 데에는 모든 당원의 의견이 동등하게 반영되어야 한다. 이렇게 정해진 기준을 어기고 별도의 특혜를 받고자 하는 시도는 어느 계파, 어느 의원, 어느 당원도 해서는 안 된다. 화합은 봉합이나 동거가 아니라 ‘원칙에 대한 일치된 승복’이다.

‘친노’에게 폐쇄성이 존재하는 것은 부인하기 어렵다. 그러나 이것이 ‘친노’ 의원들이 의도한 바는 아니라고 보인다. 우리 당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으로 문재인 대표에 대한 거리감의 격차가 자연스럽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을 ‘이상함’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당연함’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 ‘친노’ 의원들의 잘못이다.

‘친노’ 의원들이 의식적인 노력을 해서 모든 의원들이 당대표에 대해 ‘동등한 접근성’을 가질 수 있도록, ‘동등한 친근감’을 가질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화합은 ‘차별감’을 남겨두고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친노 패권주의’는 존재하지 않는다. ‘친노-비노’의 대립으로 우리 당의 모든 문제점이 설명되지도 않는다. 오히려 모든 문제를, 심지어는 자기 자신과 자기 계파의 문제까지도 ‘친노 문제’로 돌리고 ‘친노’가 문제라고 핑계대려는 ‘친노 환원주의’가 가장 큰 문제이다.

당 안팎에서 수많은 오해를 받을 수도 있는 이 충언을 너른 마음으로 받아들여 주시기를 간절히 바란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9469
  • 기사등록 2015-05-24 15:23:17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