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립연천현충원 24일 착공…수도권 5만 기 규모 제3현충원 조성 - 경기도 연천군에 2027년까지 봉안 5만 기 규모로 완공 예정 - 기존 논·밭 중심 친환경 설계…수도권 국가유공자 안장 여력 확보 - 강정애 장관 “예우·추모·교육 기능 갖춘 복합 보훈 공간 조성할 것”

이민호 기자

  • 기사등록 2025-04-23 10:45:06
기사수정

국가보훈부는 24일 오후 국립서울·대전현충원에 이은 제3의 국립묘지인 국립연천현충원의 착공식을 개최하고, 수도권 국가유공자 안장을 위한 본격적인 조성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국립연천현충원 조감도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대광리 일대에 들어서는 국립연천현충원이 24일 착공에 들어간다. 국가보훈부는 이날 오후 3시 착공식을 개최하며,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 김성원 국회의원, 김덕현 연천군수, 각계 보훈단체장 등 약 200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국립연천현충원은 2018년 부지 선정 이후 「국립묘지법」 개정, 설계, 인·허가 및 토지 보상 절차를 거쳐 총 1,298억 원의 사업비로 조성된다. 부지 면적은 약 95만 7천 제곱미터(29만 평)에 달하며, 봉안당 2만 5천 기, 봉안담 2만 기, 자연장 5천 기 등 총 5만 기 수용이 가능하다. 완공 목표는 2027년이다.

 

이번 조성사업은 기존 산림을 훼손하지 않고 논과 밭을 중심으로 공사를 진행하는 친환경 방식을 채택해 주목받고 있다. 국립연천현충원이 완공되면, 수도권에 거주하는 국가유공자에 대한 원활한 안장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현재 국립묘지 안장 여력은 약 11만 기에 불과한 반면, 안장 대상자는 34만여 명에 달해, 봉안 시설 부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국립연천현충원을 비롯해 국립횡성·장흥호국원 3만 3천 기 조성, 국립영천·임실·이천호국원 봉안시설 확충 등으로 약 10만 기의 추가 안장 공간이 마련될 예정이다.

 

강정애 장관은 “국립연천현충원은 국가유공자를 품격 있게 예우하는 공간일 뿐 아니라, 국민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보훈문화 공간이자, 미래세대가 나라사랑 정신을 배우는 교육의 장이 되도록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52469
  • 기사등록 2025-04-23 10:45:06
책-퇴진하라
책-보수의종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