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단상 내려온 유인촌 "가슴 뛴다…여러분 끌면 내가 뒷바라지" - 유인촌 문체부 장관 세종청사 첫 출근...직원들 사이에서 취임사 - "K-콘텐츠 정책 새 틀 짤 것...자유로운 사고·갈등 해결 노력" 당부

임지민 기자

  • 기사등록 2023-10-16 13:51:05
기사수정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6일 "정부세종청사 출근은 처음이어서 굉장히 가슴이 좀 뛴다"고 말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6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15동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유 장관은 취임식을 앞둔 이날 오전 문체부 세종청사에 출근해 "세종시가 만들어진 다음 처음 와보는 것이고 직원들을 처음 만나는 것"이라며 이같이 소감을 밝혔다.

 

그러면서 "마음은 의욕이 넘친다"며 "문화가 중심이란 얘기는 20~30년 전부터 한 얘기다. 정말 문화가 중심이 되도록 해보고 싶다"고 강조했다.

 

유 장관은 이날 취임식에서 "단상은 사람을 위압적으로 만든다"며 단상에서 내려와 직원들 쪽으로 이동, 원고 없이 취임사를 시작했다. 


유 장관은 "문화란 것 자체가 삶의 방식을 정하고 삶이 쌓여 만들어지는데, 단상이 있는 이런 구조에선 생각이 안 바뀐다"며 "여러분이 문화를 다루려면 고정된 것에서부터 탈피해야 한다. 지금부터라도 좀 더 유연하고 자유로운 생각을 했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6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15동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8~2011년 문체부 장관을 지냈던 유 장관은 "15년 만에 와 여러분을 대부분 처음 만나는데 그때보다 훨씬 가슴이 울렁울렁한다"며 "책임감과 무게감도 그때보다 훨씬 더 많이 느낀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재임 시절을 돌아보며 "항상 우리 부처 목표는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하고, 들리지 않는 것을 들리게 하는' 것"이라며 "(문화 분야에선) 보이지 않는 게 보일 때 보람이 있다. 여러분이 보람을 찾을 수 있도록 내가 뒷바라지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 장관은 이날 과거 재임 시절의 반말 논란과 일각에서 제기하는 블랙리스트 의혹에 대해 "장관을 처음 하다 보니 시행착오를 많이 했고 무조건 정면 돌파했다. 모든 걸 해결하고 싶었다"며 "1인 시위든 수십명이 하든 그냥 지나친 적이 없다. 그래서 시끄러웠다. '고생하지 말고 들어가라'고 하면 '왜 반말하느냐'는 답이 돌아왔다. 인터넷에 바로 뉴스가 났다"고 돌아봤다.


그러면서 "어떻게든 친근하게 다가가고 싶었던 것"이라며 "해결된 것도 있고, 안된 것도 있지만 그 나름대로 노력의 결과가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블랙리스트 문제와 관련해서는 "현장에 있는 양심상 그런 짓은 안 했다"며 "'왜 저렇게 반대할까' 미워는 했어도 (지원한) 기록을 보면 다 나온다"고 언급했다.


이어 "직원들이 (박근혜 정부 시절 블랙리스트) 트라우마에서 벗어나면 좋겠다"며 "이념 문제, 부처 간 이견 갈등, 현장 소통에서 벌어지는 갈등은 세상이 변해도 존재하니 피하지 말고 갈등을 해결하도록 노력하자"고 당부했다.


아울러 "여러분이 끌고 가면 뒤에서 내 역할을 하겠다"며 "최소한 수목금은 세종청사에 있을 것이다. 언제든지 얘기하고 싶은 게 있으면 문을 두드리고 전화해달라. 소통 공간은 열려 있다"고 말했다.


유 장관은 문체부를 통해 배포한 취임사에서는 "K-콘텐츠가 더 높은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선 새로운 어젠다를 설정하고 정책의 새 틀을 짜야 한다"고 말했다.


중점 과제로는 ▲창의적인 창작 환경을 위한 예술지원체계 개편 ▲문화가 중심이 되는 지역균형발전 ▲콘텐츠산업 집중 육성 및 규제 개선 ▲생활체육·학교체육 활성화 및 엘리트 선수 환경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을 제시했다.


그는 과거 재임 시절 큰 성과를 거둔 저작권법 개정과 관련해 "지금은 글로벌·토종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등 완전히 바뀐 환경이다. 플랫폼과 창작자 간 해결할 문제도 있다. 10년 뒤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르니 앞장 서서 저작권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장관은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8~2011년 문체부 장관을 지냈으며, 지난 11일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임명장을 받고 두 번째 장관직을 맡게 됐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36582
  • 기사등록 2023-10-16 13:51:05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국토부, 도심항공교통 K-UAM 핵심 기술개발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도심항공교통(UAM)의 본격 상용화 시점인 성장기(’30년∼)를 대비하여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 사업을 착수한다고 14일 밝혔다.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은 전기동력·저소음 항공기, 수직이착륙장 기반 차세대 첨단교통체계이다. 국토부가 주관하고 기상청이 참여하는 ...
  2. 尹 대통령,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개최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오전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고맙습니다, 함께 보듬는 따뜻한 노동현장’을 주제로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민생토론회는 약 1개월 반 만에 개최되는 회의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5월9일 취임 2주년 국민보고에서 국민의 삶 속으로 더 깊숙이 들어가, 현장 중심으로 ...
  3. 尹 대통령, "국민통합의 가장 중요한 토대는 `성장`, 경제 역동성 높일 것" 윤석열 대통령은 5월13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민통합, 미래로 가는 동행’을 주제로 `국민통합위원회 2023년 하반기 성과보고회`를 주재했다. 이번 회의는 작년 8월 출범한 2기 국민통합위원회의 하반기 주요 활동 성과를 보고하고, 민생현장 소통을 통해 발굴한 정책 제안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국민통합...
  4. 기아, ‘더 뉴 EV6’ 계약 개시...상품성 강화에도 전 트림 가격 동결 기아의 첫 전용 전기차가 더욱 완벽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기아가 상품성을 대폭 강화한 전용 전기차 ‘더 뉴 EV6(The new EV6, 이하 EV6)’의 계약을 14일(화)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기아는 EV6의 상품성을 대폭 강화하면서도 전 트림의 가격을 동결해 뛰어난 상품 경쟁력을 확보했다.2021년 8월 출시된 EV6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의 ...
  5. 대한민국은 왜 외교 후진국인가 대외변수로부터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소규모 개방경제로 한국을 습관적으로 정의하면서도, 그와 동시에 내정과 외치가 별개로 돌아가는 미국식 세계관을 뼛속 깊이 체득한 사람들이 대한민국 외교 정책을 오랫동안 좌지우지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테다
포커스 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