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호 기자
질병관리본부는 충남 지역에서 올해 처음으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야외활동시 긴옷 착용 및 외출 후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등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했다.
충남에 거주하는 H씨는 증상이 나타나기 전 텃밭을 가꾸는 등 야외 활동을 했고, 4월 28일 발열, 홍반 등 증상이 나타나서 의료기관에 입원치료 중으로, 충청남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SFTS 양성 판정을 받았다.
SFTS는 주로 4~11월에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 물린 후 고열, 소화기증상 등을 나타내며, 2013년부터 2018년까지 환자 866명이 확인됐다.
2019년 4월 현재 SFTS 매개 참진드기 감시결과, 참진드기 지수가 54.4로 전년 동기간 대비 51.7% 높은 수준이며, 지역별로 충남, 강원, 제주 순으로 높았다.
SFTS는 농작업, 등산 등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특히, SFTS 감염자 중에는 50대 이상의 농업 및 임업 종사자의 비율이 높아 농촌지역 고연령층에서 주의가 필요하며, 야외활동 후 2주 이내에 고열, 소화기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
또한, 의료인들은 SFTS 발생 시기인 4~11월 사이에 고열, 소화기증상 등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환자에게는 야외활동 여부를 확인해 SFTS 진단에 유의해줄 것과 진료 과정에서의 2차 감염에 주의해야 한다.
아울러, 질병관리본부는 SFTS 등 진드기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해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의 진단체계 및 의료기관을 통한 환자 감시체계를 운영 중이며 전국 보건소를 통한 지역 주민 대상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 교육·홍보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SFTS 예방 홍보 포스터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