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맹성규, “버스‧택시기사 음주 운전면허 취소 매년 약 300건 발생” - 최근 5년간 여객자동차 운수종사자 운전면허 취소 총 9,337건 중 음주로 인한 건수 1,600건 - 운전면허 정지로 인한 자격 취소 건수도 2023년 7월까지 24건에 달해 - 맹성규 의원, "운수종사자는 음주운전에 있어 더 각별히 주의해야…현행 제도 보완 필요"

임지민 기자

  • 기사등록 2023-09-14 11:24:17
기사수정

근 5년간 버스‧택시기사와 같은 여객자동차 운수종사자 가운데 운전면허가 취소된 건수는 총 9,337건으로 확인됐다. 이 중 음주와 관련된 취소 건수가 1,600건에 달하는데, 이는 개인 신상과 관련된 사유를 제외하면 최다 원인으로 분석된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맹성규 의원(인천 남동갑)

특히 음주운전으로 인한 면허 정지시 운수종사자 자격도 취소하는 여객운수종사자 음주운전 방지 제도가 마련(‘2022년 1월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개정안 시행)됐음에도 불구하고, 음주운전으로 인한 면허정지에 따른 운수종사자 자격취소 건수도 24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음주운전 방지제도의 세부적인 규정을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맹성규 의원이 국토교통부‧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3년 6월까지 여객자동차 운수종사자의 운전면허 취소는 총 9,337건으로 2018년 1,987건, 2019년 1,822건, 2020년 1,509건, 2021년 1,643건, 2022년 1,744건, 2023년 6월까지 632건이다.

 

이 중 본인사망 5,195건, 적성검사 불합격 980건, 정기적성검사 미필 694건 등 전체의 약 73%는 운수종사자의 개인신상 및 기준 미달에 해당했으나, 그 외 대부분의 취소 사유는 음주에서 야기된 것으로 확인됐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음주측정 불이행, 2‧3회 이상 음주운전, 음주만취운전, 음주인피 교통사고 등 음주와 관련된 운전면허 취소 건수는 2018년 349건, 2019년 312건, 2020년 285건, 2021년 277건, 2022건 275건으로 매년 약 300건씩 꾸준히 발생했으며, 2023년 상반기에만 약 102명의 운수종사자가 음주에서 야기된 행위로 인해 면허가 취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맹성규 의원은“음주운전은 타인의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 위험한 행위로 불특정 다수 국민을 승객으로 하는 여객자동차 운수종사자는 보다 각별히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는 유관기관과 협력해 음주운전 근절 및 사고 방지를 위해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36046
  • 기사등록 2023-09-14 11:24:17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추미애와 김부겸의 동병상련 손학규도, 김부겸도, 추미애도 운발이 나빴을지 모른다. 하지만 어쩌겠는가? 오심도 경기의 일부이듯, 운도 실력의 불가피한 구성요소인걸. 민주당 계열 정당에서 주류로 계속 군림하기란 그만큼 힘겹다는 의미이다. 물론, 세 번의 시험 모두에 깔끔하고 완벽하게 통과하고서도 범털이 되지 못하고 만 인간들도 여의도 정치권에는 부지기수...
  2. 윤 대통령, "국가·국민 위해 파이팅하자…한몸으로 뼈가 빠지게 뛰겠다" 윤석열 대통령은 30일 국민의힘 22대 국회의원에게 "앞으로 4년 동안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으로서 국가와 국민을 위해 파이팅 해달라"고 당부했다.윤 대통령은 이날 국민의힘 국회의원 워크숍에 참석해 "여러분 한 분 한 분이 당과 국가의 귀중한 자산"이라며 이같이 말했다.윤 대통령은 "오늘 여러분을 보니 정말 스트레스가 풀리고 힘이 난다...
  3. '한일중 회의체' 정례화 복원…"한반도 문제 정치적 해결 노력" 한국과 중국, 일본이 3국 정상회의를 다시 정례화하기로 했다. 지난 4년 5개월 동안 중단됐던 3국 정상회의를 재개함으로써 3국 협력체제의 복원과 정상화에 합의한 것이다.한반도 비핵화 문제에는 정치적 해결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기로 했지만, 한일 양국과 중국의 입장이 달라 구체적인 해법에 대한 합의는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4. 정부, 4일 '의료 현안 브리핑'...전공의 사태 '출구전략' 나오나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사태가 석 달 넘게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사태를 일단락시키기 위해 이들의 사직서 수리와 행정처분 등 구체적인 방안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조규홍 장관은 오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의료개혁 관련 현안 브리핑'을 개최한다. 이날 브리핑에서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사태와 ...
  5. 경기 일부지역 전세가율 80~90% 등 상승세...깡통전세 우려 최근 3개월 동안 경기도 내 일부지역의 아파트와 연립·다세대의 전세가율(주택매매가격에 대비한 전세가격의 비율)이 80~90%를 넘자, 경기도가 ‘깡통전세’ 위험이 있다며 임차인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경기도는 한국부동산원의 매매·전세 실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 4월 기준 최근 3개월간 아파트, 연립·다세대 전세...
포커스 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