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현장 밀착' 기술인재 양성할 직업계고 2027년까지 100개 육성 - 지자체·기업과 협약 맺고 소수정예 인재 키우는 협약형 고교 도입

김전태 기자

  • 기사등록 2023-08-24 14:03:05
기사수정

정부가 지역·산업계 현장이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할 직업계고 100곳을 2027년까지 집중적으로 육성한다.


지난 6월 15일 오후 서울 중구 굿모닝시티에서 열린 '2023 F&B 서울 직업계고 취업박람회'에서 학생들이 참가기업 면접장 앞에서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교육부는 24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중등 직업교육 발전 방안'을 발표했다.


 중등 직업교육의 재도약을 위해 마련된 이번 방안에서 교육부는 우수한 직업계고 모델을 육성해 전체 직업계고 경쟁력을 높이는 선순환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2027년까지 현장이 원하는 학교 100개를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교육부는 지방자치단체, 기업, 특성화고 등이 연계해 소수 정예로 지역 특화 인재를 양성하는 '협약형 특성화고'를 도입해 2027년까지 35개교를 육성하기로 했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실버 사업, 전통주·전통가옥 사업, 용접, 건축(타일·미장 등) 등 지역·국가에 필요한 특수 산업 분야나 지역 기반 산업의 인재를 위한 소수 정예 학교다.


 지자체와 교육청, 지역 산업계, 특성화고가 함께 지역에 필요한 인재 양성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면 교육부가 재정을 지원해주는 구조로 운영된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교육 과정 운영 자율권도 갖는다.


 교육부는 여기에 더해 직업교육의 선도 모델인 마이스터고를 지난해 기준 54개교에서 2027년까지 10개교 이상 추가 지정한다는 목표다. 새롭게 지정되는 마이스터고는 첨단 분야 중심으로 추가 지정할 방침이라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기존 마이스터고에 대해 교육부는 인공지능(AI)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고도화하고 맞춤 교육을 강화할 수 있도록 재정 지원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마이스터고 질 관리를 위해 5년 주기 운영 성과 평가도 강화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직업계고 학생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정규 수업·방과 후 학교를 통한 수준별 디지털 이해 교육을 강화한다.


 기초 학력이 떨어지는 직업계고 학생들을 위해서는 AI 기반으로 맞춤형 기초학력 향상 프로그램도 제공하기로 했다.


 마이스터고 출신 졸업생이 산학겸임교사로 활동할 수 있도록 자격 기준도 '학력'이 아닌 '경력'을 기준으로 완화한다.


 교육부는 또 학령 인구 감소에 대응해 소규모 직업계고를 거점 특성화고 전환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직업계고 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취·창업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학교 기업 운영이나 학교 내 기업 유치도 2027년 100개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직업계고 학생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실습받을 수 있도록 학교 전담 공인 노무사 위촉을 확대하고, AI를 활용해 실습 기업 안전 상황을 상시 점검한다.


 직업계고 졸업생 중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학생들을 위해 '브릿지 학년' 제도를 도입해 일자리·채용 정보 제공, 면접 기법 교육 등 교육 훈련을 제공한다.


 또 직업계고 학생들이 다양한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비용 지원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교육부는 교육청, 교육 현장과 지속해서 소통해 이번에 제시된 과제들이 현장에서 안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35653
  • 기사등록 2023-08-24 14:03:05
dt>경기도, 주거용도로 불법전용 생활숙박시설 문제 해결 나서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