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박용진 의원, “저출산, 책임지고 이끌어 갈 총사령관 필요” - 저출산위, 저출산 대책 예산 중 헛발질 예산만 10년간 7조4000억원 - 朴, “예산 검증, 정책 비판 못 한 국회 책임 존재…, 컨트롤 타워 설치해야”

임지민 기자

  • 기사등록 2023-04-27 11:24:35
기사수정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의원(서울 강북구을, 정무위)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로부터 2013~2022년 전 부처 저출산 대책 예산을 받아 전수조사한 결과, ‘무늬만 저출산 대책’에 10년간 7조4000억원이 소요된 것을 확인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의원(서울 강북구을, 정무위)

5년 주기로 수립되는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 저출산분야 예산 195조원을 분석한 결과, 고용노동부의 ‘해외취업 지원 사업’ 결산보고서에는 2014년 237억원에 불과했던 사업예산이 ‘저출산 대책’이라는 타이틀이 붙고 난 후 2018년 526억으로 두배가량 늘어났다.

 

행정안전부는 2013년부터 2015년 저출산 분야 과제로 선정한 ‘청소년 성범죄 예방 활동 강화’ 사업(예산3406억원)을 명칭만 바꿔 3년간 폐쇄회로TV(CCTV) 4247개와 통합관제센터 83곳을 설치했다. 하지만 두가지 사업의 예·결산자료 어디에도 저출산 문제 해결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기재되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

 

문체부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 학교의 문화예술 교육을 활성화하겠다면서 2219억원을 저출산 예산으로 타냈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16년부터 2018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을 지원하는 사업 예산 총 987억원을 저출산 예산으로 편성해 사용했다. 여성가족부가 타간 저출산 예산은 위기 청소년 지원(947억원), 성폭력 피해자 통합지원센터(635억원), 성범죄자 신상정보 우편고지(177억원) 사업부터 청소년 인터넷 중독 예방(137억원) 등으로 사용됐다.

 

이미지 출처 중앙일보, 박용진의원실 자료 재가공 제공

각 부처의 기존 사업 예산에 ‘저출산 과제’ 명패만 달아 예산을 타낸 경우도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고용부는 2019년부터 2020년까지 ‘고용보험 사각지대 해소’라는 과제명으로 ‘두루누리’ 사회 보험료 지원에 총 2조4909억원을 썼고, 교육부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대학교의 학과 구조조정을 유도하는 프라임(PRIME·산업 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 대학) 사업 예산 6763억원을 저출산 과제에 편성되었다. 또, 중소기업벤처부는 2016년부터 2017년까지 고성장 기업 500개를 발굴하는 내용의 ‘청년 가젤형 기업지원’ 사업 예산 7170억원을 저출산 과제로 사용했다.

 

박용진 의원은 “정책이 나열적·분산적으로 진행돼 많이 흐트러졌고 여전히 정책 간 엇박자는 심하다. 그러니 CCTV설치 같은 사업이 끼어들어도 거르지 못하는 것”이라며, “예산 검증, 정책 비판을 제대로 못 한 국회 책임도 분명히 존재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근본적 원인은 컨트롤 타워가 없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기재부를 포함해 전 정부를 끌고 갈 수 있는 총사령관이 필요하다. 그래서 지난 대선 출마했을 때부터 ‘인구 부총리’도입을 주장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박 의원은 합계 출산율이 0.78이라는 현실에 대해 “저출산 문제는 전쟁을 치른다는 심정으로 매달려야 한다”고 주장하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사망자가 6만명인데, 작년 우리나라 인구는 12만명이 줄었다”며 당장 시급한 정책과제로 “남녀 모두에 대해 최소 6개월의 육아휴직 사용을 의무화 하는 ‘육아휴직 의무제’와 난임 진단을 받은 근로자에게 대해 최대 3개월까지 휴직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난임휴직제’에 대한 법안 등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박용진 의원은 발의를 앞두고 있는 두가지 법안에 대해 “사람이 태어나고 성장하는데 안전하고 행복한 나라를 만들어야 하고 누구나 마음 편하게 출산하고 육아할 수 있어야 한다 ”며 “장기적으로 시장을 유지·관리한다는 측면에서 출산율 제고 노력을 국가와 기업이 함께 해야하고 정치의 역할도 중요”하다며 법안에 의미를 설명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34372
  • 기사등록 2023-04-27 11:24:35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대한민국은 왜 외교 후진국인가 대외변수로부터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소규모 개방경제로 한국을 습관적으로 정의하면서도, 그와 동시에 내정과 외치가 별개로 돌아가는 미국식 세계관을 뼛속 깊이 체득한 사람들이 대한민국 외교 정책을 오랫동안 좌지우지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테다
  2. 추미애와 김부겸의 동병상련 손학규도, 김부겸도, 추미애도 운발이 나빴을지 모른다. 하지만 어쩌겠는가? 오심도 경기의 일부이듯, 운도 실력의 불가피한 구성요소인걸. 민주당 계열 정당에서 주류로 계속 군림하기란 그만큼 힘겹다는 의미이다. 물론, 세 번의 시험 모두에 깔끔하고 완벽하게 통과하고서도 범털이 되지 못하고 만 인간들도 여의도 정치권에는 부지기수...
  3. 윤 대통령, "국가·국민 위해 파이팅하자…한몸으로 뼈가 빠지게 뛰겠다" 윤석열 대통령은 30일 국민의힘 22대 국회의원에게 "앞으로 4년 동안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으로서 국가와 국민을 위해 파이팅 해달라"고 당부했다.윤 대통령은 이날 국민의힘 국회의원 워크숍에 참석해 "여러분 한 분 한 분이 당과 국가의 귀중한 자산"이라며 이같이 말했다.윤 대통령은 "오늘 여러분을 보니 정말 스트레스가 풀리고 힘이 난다...
  4. '한일중 회의체' 정례화 복원…"한반도 문제 정치적 해결 노력" 한국과 중국, 일본이 3국 정상회의를 다시 정례화하기로 했다. 지난 4년 5개월 동안 중단됐던 3국 정상회의를 재개함으로써 3국 협력체제의 복원과 정상화에 합의한 것이다.한반도 비핵화 문제에는 정치적 해결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기로 했지만, 한일 양국과 중국의 입장이 달라 구체적인 해법에 대한 합의는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5. 경기 일부지역 전세가율 80~90% 등 상승세...깡통전세 우려 최근 3개월 동안 경기도 내 일부지역의 아파트와 연립·다세대의 전세가율(주택매매가격에 대비한 전세가격의 비율)이 80~90%를 넘자, 경기도가 ‘깡통전세’ 위험이 있다며 임차인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경기도는 한국부동산원의 매매·전세 실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 4월 기준 최근 3개월간 아파트, 연립·다세대 전세...
포커스 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