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호 기자
서울시는 21일 광화문광장 국제설계공모 최종 당선작을 발표했다. 공모에는 국내 38개팀, 해외 32개팀 등 17개 국가에서 70개팀 202명의 건축·조경 전문가가 참여했다.
70대 1의 경쟁률을 뚫은 당선작에는 CA조경과 김영민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교수, ㈜유신, ㈜선인터라인 건축이 제안한 'Deep Surface'(과거와 미래를 깨우다)가 선정됐다.
당선작에 따르면 서울 광화문광장은 세종문화회관 앞 차로를 흡수하면서 3.7배로 넓어진다. 광화문 앞 옛 육조거리를 복원해 북악산에서 광화문광장, 숭례문, 용산, 한강으로 이어지는 역사경관축도 회복한다. 이를 위해 세종대왕상과 이순신장군상을 이전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설계공모에 앞서 서울시가 제시한 새로운 광화문광장의 기본방향은 세 가지다. △광화문의 600년 '역사성', △3·1운동부터 촛불민주제까지 광장민주주의를 지탱해 온 '시민성', △지상·지하 네트워크 확대를 통한 '보행성 회복'이다.
당선작은 이를 바탕으로 세 가지를 구현하고자 했다. 우선 주작대로(육조거리)를 복원해 국가상징축(북악산~광화문광장~숭례문~용산~한강)을 완성한다. 지상과 지하광장을 입체적으로 연결해 시민이 주인인 다층적 기억의 공간을 형성했다. 자연과 도시를 아우르는 한국적 경관의 재구성(북악산~경복궁~광화문)에도 주안점을 뒀다.
지상은 '비움', 지하는 '채움'을 주제로 공간을 구성했다. 경복궁 광화문 앞에 '역사광장'(3만6000여㎡)을 조성하고 역사광장 남측에는 '시민광장'(2만4000여㎡)을 조성한다.
지상광장은 다양한 대형 이벤트가 열릴 수 있도록 비움의 공간으로 조성한다. 광장 어디서든 경복궁과 그 뒤 북안산의 원경을 어디서든 막힘 없이 볼 수 있도록 구조물과 배치를 정리한다. 당선작은 이를 위해 세종대왕상과 이순신장군상을 세종문화회관 옆과 옛 삼군부 터(정부종합청사 앞)로 각각 이전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해치광장 등 3곳으로 단절돼 있던 지하공간은 하나로 통합해 시민을 위한 또 다른 광장으로 만든다. 콘서트, 전시회 같은 문화 이벤트가 연중 열리는 휴식, 문화, 교육, 체험 공간으로 채워진다. 지상과 지하는 선큰공간으로 연결된다. 역사광장 초입부에 조성되는 선큰공간은 지하광장에서 지하철까지 이어진다.
승효상 심사위원장은 "당선작은 광장의 지상 공간을 비워서 강력한 도시적 역사적 축을 형성하고, 이렇게 비워진 공간에 다양한 시민활동을 담고자 광장 주변부 지하공간을 긴밀하게 연결해 지하도시를 실현했다"고 설명했다.
또 "선큰공간을 적절히 배치해 시민의 접근성과 공간의 쾌적성을 높였다"며 "현재 교통섬 같은 광화문광장이 주변 공간과 밀접하게 연결돼 시민의 일상적인 공간을 회복하고 역사도시 서울을 새롭게 인식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당선팀에게는 기본·실시설계권이 주어진다. 서울시는 당선자와 설계 범위 등에 대해 협의한 뒤 2월 중 설계계약을 체결하고 연내 설계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내년 초 공사에 들어가 2021년 새로운 광화문광장을 준공한다.
이번 사업에는 서울시와 정부 예산 총 1040억원이 투입된다. 서울시는 669억원, 문화재청은 371억원을 분담한다. 서울시는 설계를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주민설명회, 공청회 등을 통해 지역주민이 우려하는 사항을 직접 듣고, 주민관점에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021년이면 서울에도 런던의 트라팔가 광장, 파리의 개선문 광장 같은 국가 상징광장이 시민 품으로 돌아온다"며 "다양한 주체가 조성 과정에 참여하는 모두의 광장으로, 시민들에게 사랑받고 세계인들이 즐겨 찾는 명소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30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