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SK하이닉스, 1분기 매출 8조4942억원, 영업익 1조3244억원 ‘호실적’ -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18%, 66%씩 증가

김치원 기자

  • 기사등록 2021-04-28 14:32:10
기사수정

SK하이닉스가 올 1분기에 매출액 8조4942억원, 영업이익 1조3244억원을 기록하는 등 좋은 실적을 거뒀다. 

28일 SK하이닉스는 실적발표회를 통해 지난 1분기 매출액 8조4942억원, 영업이익 1조3244억원을 거뒀다고 밝혔다. 

이로써 매출과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18%, 66%씩 증가했다.

이 회사는 “올 초 반도체 시장 업황이 좋아지면서 전년 동기보다 좋은 실적을 거뒀다”고 하면서 “보통 1분기는 계절적 비수기이지만, PC와 모바일에 적용되는 메모리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것이 호재가 됐다”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는 1분기 이후 시장에 대해 밝은 전망을 내놓았다. 인텔의 서버용 신규 중앙처리장치(CPU)가 본격 양산되면서 하반기 서버 교체 수요가 늘고, 코로나19 사태 이후 '언택트' 문화가 정착하면서 PC 및 전자 기기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28일 SK하이닉스는 실적발표회를 통해 지난 1분기 매출액 8조4942억원, 영업이익 1조3244억원을 거뒀다고 밝혔다.(사진=SK하이닉스) 

이에 따라 SK하이닉스는 생산성 향상과 재고 활용으로 수요 오름세에 총력 대응할 예정이다. 공정 개선과 수율 향상이 이뤄진 최신 10나노급 3세대(1z) D램, 128단 낸드플래시 등으로 비트 그로스(비트 단위 출하량 증가율)를 늘려나간다는 방침이다.

또 세계 반도체 시장 투자 활기로 SK하이닉스도 설비 투자 계획을 조율한 점도 눈에 띈다. 이날 회사는 내년 설비 투자분의 일부를 올 하반기 집행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당초 SK하이닉스는 수년간 이어온 보수적인 설비 투자 기조를 올해에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혀왔다. 그러나 삼성전자, 인텔, TSMC, 난야 등 국내외 대형 반도체 업체의 적극적인 설비 투자로 기존 핵심 제조 장비 수급 계획에 문제가 발생할 것을 대비, 투자 방침을 조정한 것으로 보인다.

SK하이닉스는 “길어진 장비 설치 기간 등을 고려해, 팹으로 들여오는 시간이 긴 장비는 지난 1분기 말 구매주문(PO) 준비를 마쳤다”고 설명했다. 또 “올해 설비투자 규모는 연초 계획보다는 다소 증가하지만, 생산량 증가는 내년에 발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25719
  • 기사등록 2021-04-28 14:32:10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대한민국은 왜 외교 후진국인가 대외변수로부터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소규모 개방경제로 한국을 습관적으로 정의하면서도, 그와 동시에 내정과 외치가 별개로 돌아가는 미국식 세계관을 뼛속 깊이 체득한 사람들이 대한민국 외교 정책을 오랫동안 좌지우지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테다
  2. 추미애와 김부겸의 동병상련 손학규도, 김부겸도, 추미애도 운발이 나빴을지 모른다. 하지만 어쩌겠는가? 오심도 경기의 일부이듯, 운도 실력의 불가피한 구성요소인걸. 민주당 계열 정당에서 주류로 계속 군림하기란 그만큼 힘겹다는 의미이다. 물론, 세 번의 시험 모두에 깔끔하고 완벽하게 통과하고서도 범털이 되지 못하고 만 인간들도 여의도 정치권에는 부지기수...
  3. 윤 대통령, "국가·국민 위해 파이팅하자…한몸으로 뼈가 빠지게 뛰겠다" 윤석열 대통령은 30일 국민의힘 22대 국회의원에게 "앞으로 4년 동안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으로서 국가와 국민을 위해 파이팅 해달라"고 당부했다.윤 대통령은 이날 국민의힘 국회의원 워크숍에 참석해 "여러분 한 분 한 분이 당과 국가의 귀중한 자산"이라며 이같이 말했다.윤 대통령은 "오늘 여러분을 보니 정말 스트레스가 풀리고 힘이 난다...
  4. '한일중 회의체' 정례화 복원…"한반도 문제 정치적 해결 노력" 한국과 중국, 일본이 3국 정상회의를 다시 정례화하기로 했다. 지난 4년 5개월 동안 중단됐던 3국 정상회의를 재개함으로써 3국 협력체제의 복원과 정상화에 합의한 것이다.한반도 비핵화 문제에는 정치적 해결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기로 했지만, 한일 양국과 중국의 입장이 달라 구체적인 해법에 대한 합의는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5. 경기 일부지역 전세가율 80~90% 등 상승세...깡통전세 우려 최근 3개월 동안 경기도 내 일부지역의 아파트와 연립·다세대의 전세가율(주택매매가격에 대비한 전세가격의 비율)이 80~90%를 넘자, 경기도가 ‘깡통전세’ 위험이 있다며 임차인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경기도는 한국부동산원의 매매·전세 실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 4월 기준 최근 3개월간 아파트, 연립·다세대 전세...
포커스 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