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서울시, 핀테크 스타트업 산‧학‧연 지원 확대…투자유치·기업진출·인턴십 등 - 서울시-KB금융그룹,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 홍익대학교와 핀테크산업 지원 업무협약 - 서울핀테크랩에 사무공간 마련…투자유치,컨설팅,네트워킹 등 기업지원프로그램 공동운영

윤승원 기자

  • 기사등록 2020-12-18 10:19:36
기사수정

서울시는 KB금융그룹,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 홍익대학교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서울시는 3개 기관(KB금융그룹,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 홍익대학교) 이 각 기관이 보유한 자원과 경험을 결합해 서울의 유망 핀테크 스타트업의 성장 지원과 핀테크 산업 발전을 위한 민관협력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총 3건의 업무협약은 코로나19 상황으로 12월 17일 목요일, 서면체결 방식으로 진행됐다.

 

서울시는 그동안 여의도 서울핀테크랩을 핀테크 산업의 혁신 거점으로 조성하기 위해 100개의 스타트업과 함께 금융감독원, 특허청, 한국핀테크산업협회, 하나은행 등 다양한 협력기관을 서울핀테크랩에 입주시켜 핀테크 창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시는 이번 협약을 통해 산·학·관 협력 체계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핀테크랩’은 연면적 1만 2000㎡ 국내 최대 규모로 조성된 핀테크 스타트업 육성 공간으로 2018년 4월 27개 입주사 지원으로 시작해 현재 100개 핀테크 기업, 1000여명의 금융 혁신가들이 모인 거대한 핀테크 창업 생태계이다.

 

서울시는 이번 협약을 통해 다양한 협력기업·기관의 전문성과 네트워킹을 활용해 ‘기업발굴–육성–투자유치-해외진출’ 등 기업성장 지원은 물론, 산학협력을 통한 R&D 지원과 전문 인재 채용을 위한 인턴십 프로그램 운영 등 핀테크 산업 발전을 위한 다각도의 상호 협력을 약속했다.

 

먼저, 서울시와 KB금융그룹은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의 스타트업 지원 공간인 ‘서울핀테크랩’과 ‘KB이노베이션허브’를 통해 양 기관이 보육한 우수 스타트업을 추천하고 입주기업 대상 네트워킹, 해외진출 등을 위해 협력한다. 또한 서울핀테크랩 내 KB이노베이션허브 공간을 조성해, 서울핀테크랩 입주 기업을 밀착지원하는 등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KB이노베이션허브’는 KB금융그룹이 운영하는 핀테크랩으로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KB스타터스’로 선정하고 KB금융그룹 계열사와 HUB파트너스와의 협력을 통해 제휴와 투자를 지원하고 있다. 2015년부터 현재까지 총 111개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해 다양한 협업 성공사례를 창출하고 있다.

 

업무협약을 체결한 두 번째 기관인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은 4조 6000억원 규모의 모펀드를 운용 중인 자산운용사이며, 3000억원 규모의 핀테크 투자재원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핀테크혁신펀드를 운용 중이다.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은 2016년 2월 설립되어 VC‧PE펀드에 대한 출자 및 직접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모펀드를 기획, 운용 중이다. 운용 모펀드 규모는 2020년 11월 기준 약 4.6조원으로 22개의 모펀드, 215개의 자펀드를 관리하고 있다.

 

한국성장금융은 이미 서울핀테크랩과 투자유치, 밋업(Meet-up), 멘토링, 자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업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만들어가고 있다. 특히 올해 상시 개최된 비공개IR 및 데모데이(투자유치 설명회)를 통해 서울핀테크랩 30개 기업에 대한 투자 검토를 진행하고 VC·전략적 투자자들과 함께 132.4억원을 공동 투자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뒀다.

 

서울시는 앞으로 한국성장금융과 협력해 투자자와 핀테크 스타트업 투자유치 행사(VC Meet-up) 등을 공동 운영해 경쟁력있는 서울 핀테크 기업의 투자유치를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세 번째 업무협약기관인 홍익대학교는 경영대학의 우수한 인재를 활용한 인턴십 프로그램을 연계, 핀테크 기업에 우수 인력을 지원하고 서울핀테크랩 입주기업과 산학협력 및 자문 등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김의승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올해 신용보증기금, 하나은행, 한국핀테크산업협회, 성균관대학교 등과 더불어 이번 3개 기관과의 추가 협약을 통해 서울의 혁신 핀테크 스타트업 지원을 위한 지속적인 산·학·관 협력 체계가 마련됐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관계기관, 대학과 협력해핀테크 스타트업을 위한 전문적인 지원 체계를 두텁게 구축하고,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핀테크 유니콘 기업이 탄생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22347
  • 기사등록 2020-12-18 10:19:36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국토부, 도심항공교통 K-UAM 핵심 기술개발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도심항공교통(UAM)의 본격 상용화 시점인 성장기(’30년∼)를 대비하여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 사업을 착수한다고 14일 밝혔다.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은 전기동력·저소음 항공기, 수직이착륙장 기반 차세대 첨단교통체계이다. 국토부가 주관하고 기상청이 참여하는 ...
  2. 尹 대통령,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개최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오전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고맙습니다, 함께 보듬는 따뜻한 노동현장’을 주제로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민생토론회는 약 1개월 반 만에 개최되는 회의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5월9일 취임 2주년 국민보고에서 국민의 삶 속으로 더 깊숙이 들어가, 현장 중심으로 ...
  3. 尹 대통령, "국민통합의 가장 중요한 토대는 `성장`, 경제 역동성 높일 것" 윤석열 대통령은 5월13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민통합, 미래로 가는 동행’을 주제로 `국민통합위원회 2023년 하반기 성과보고회`를 주재했다. 이번 회의는 작년 8월 출범한 2기 국민통합위원회의 하반기 주요 활동 성과를 보고하고, 민생현장 소통을 통해 발굴한 정책 제안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국민통합...
  4. 기아, ‘더 뉴 EV6’ 계약 개시...상품성 강화에도 전 트림 가격 동결 기아의 첫 전용 전기차가 더욱 완벽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기아가 상품성을 대폭 강화한 전용 전기차 ‘더 뉴 EV6(The new EV6, 이하 EV6)’의 계약을 14일(화)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기아는 EV6의 상품성을 대폭 강화하면서도 전 트림의 가격을 동결해 뛰어난 상품 경쟁력을 확보했다.2021년 8월 출시된 EV6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의 ...
  5. 대한민국은 왜 외교 후진국인가 대외변수로부터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소규모 개방경제로 한국을 습관적으로 정의하면서도, 그와 동시에 내정과 외치가 별개로 돌아가는 미국식 세계관을 뼛속 깊이 체득한 사람들이 대한민국 외교 정책을 오랫동안 좌지우지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테다
포커스 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