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공정위, 상조 가입자 666만명…업체에 맡긴 돈 6.2조원 - 선수금 6조 2066억원 중 6조 1294억원(98.8%)은 선수금 100억원 이상인 대형업체 49개사 보유 - 선수금 중 50.8% 공제조합, 은행 예치, 지급 보증 등 통해 보전

윤승원 기자

  • 기사등록 2020-12-14 17:16:42
기사수정

공정거래위원회가 2020년 하반기 상조업체 주요 정보를 공개했다.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9월 말 기준, 등록된 상조업체는 80개고 상조업체 가입자 수는 상반기 대비 30만명 늘어난 666만명을 기록했다. 이들이 맡긴 선수금은 6조 2000억원에 달했다. 올 상반기 대비 3228억원 증가한 수치다. 이 중 6조 1294억원(98.8%)은 선수금 100억원 이상인 대형업체 49개사가 보유하고 있다.

상조업체는 소비자에게 받은 선수금의 50%를 은행 등 소비자피해보상보험기관을 통해 보전할 의무가 있다. 이같은 의무를 준수하는 업체는 75개로 밝혀졌다. 선수금 보전 비율을 어긴 업체는 3곳으로 이들이 받은 선수금은 43억원, 평균 선수금 보전율은 31.1%다.

업계 전체 선수금 6조 2066억원 중 50.8%는 공제조합, 은행 예치, 지급 보증 등을 통해 보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제조합에 가입해 선수금을 보전하는 업체는 37개사, 은행 예치를 이용하는 업체는 31개사, 지급 보증은 5개사였다. 이밖에 5개사는 2개 이상의 보전기관을 이용했다.

 

공정위 측은 “등록 상조업체 수가 줄었는데도 선수금 규모와 가입자가 증가하는 등 상조업계는 외형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며 “상조업체들은 재정 건전성을 강화하고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려고 노력하는 등 신뢰를 회복해 나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22235
  • 기사등록 2020-12-14 17:16:42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국토부, 도심항공교통 K-UAM 핵심 기술개발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도심항공교통(UAM)의 본격 상용화 시점인 성장기(’30년∼)를 대비하여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 사업을 착수한다고 14일 밝혔다.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은 전기동력·저소음 항공기, 수직이착륙장 기반 차세대 첨단교통체계이다. 국토부가 주관하고 기상청이 참여하는 ...
  2. 尹 대통령,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개최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오전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고맙습니다, 함께 보듬는 따뜻한 노동현장’을 주제로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민생토론회는 약 1개월 반 만에 개최되는 회의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5월9일 취임 2주년 국민보고에서 국민의 삶 속으로 더 깊숙이 들어가, 현장 중심으로 ...
  3. 尹 대통령, "국민통합의 가장 중요한 토대는 `성장`, 경제 역동성 높일 것" 윤석열 대통령은 5월13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민통합, 미래로 가는 동행’을 주제로 `국민통합위원회 2023년 하반기 성과보고회`를 주재했다. 이번 회의는 작년 8월 출범한 2기 국민통합위원회의 하반기 주요 활동 성과를 보고하고, 민생현장 소통을 통해 발굴한 정책 제안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국민통합...
  4. 기아, ‘더 뉴 EV6’ 계약 개시...상품성 강화에도 전 트림 가격 동결 기아의 첫 전용 전기차가 더욱 완벽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기아가 상품성을 대폭 강화한 전용 전기차 ‘더 뉴 EV6(The new EV6, 이하 EV6)’의 계약을 14일(화)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기아는 EV6의 상품성을 대폭 강화하면서도 전 트림의 가격을 동결해 뛰어난 상품 경쟁력을 확보했다.2021년 8월 출시된 EV6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의 ...
  5. 대한민국은 왜 외교 후진국인가 대외변수로부터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소규모 개방경제로 한국을 습관적으로 정의하면서도, 그와 동시에 내정과 외치가 별개로 돌아가는 미국식 세계관을 뼛속 깊이 체득한 사람들이 대한민국 외교 정책을 오랫동안 좌지우지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테다
포커스 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