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나 혼자서도 산다' 서울시, 발달장애인 독립생활 지원 성과 가시화 - 체험형 주택서 적응기간 거친 발달장애인 3명 올 9월 자가 독립생활 시작… 첫 사례

정지호 기자

  • 기사등록 2018-05-24 16:34:34
기사수정

서울시가 작년 7월 전국 최초로 시범 운영한 ‘발달장애인 지원주택 주거서비스’가 시행 1년을 앞두고 현장에서 상당한 효과와 호응을 보이며 순항하고 있다. 


현재 본인 집에서 생활하면서 거주생활 전반을 지원받는 ‘자가형’ 13가구, 시가 제공한 주택에서 생활하며 독립생활을 익히는 ‘체험형’ 4가구, 총 17가구를 운영 중이다.


특히 현재 체험형에 거주중인 7명 중 3명은 적응기를 거쳐 올 9월이면 본인의 집에서 혼자 생활하는 자가형 지원주택으로의 이전을 앞두고 있다. 시가 마련한 체험형 지원주택을 거쳐 완전 독립하는 첫 사례다. 자폐성 장애 2급 강 모씨도 그 중 한 명이다.


▲ 체험형 지원주택에 거주 중인 강 모씨의 생활 모습


발달장애인 지원주택 주거서비스는 적절한 지원 없이 독립거주가 어려운 성인 발달장애인의 안정적인 독립생활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돕는 주거생활 전반에 대한 서비스를 말한다.


발달장애인의 경우 보호자가 사망하면 혼자서 생활할 수 없어 대부분 시설로 간다. 서울시는 ‘발달장애인 지원주택 주거서비스’가 거주시설 대안으로 발달장애인들이 지역 거주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시는 오는 2019년까지 시범운영 후 다각적 현장 모니터링, 평가를 통해 사업을 더욱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특히, 5월 초 '서울특별시 지원주택 공급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정으로 공공주택 지원 근거가 마련돼 안정적인 기반 아래서 장애인의 독립 주거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시범사업을 맡아 추진 중인 강태인 충현복지관장은 “가족과 함께 생활 중인 발달장애인의 경우 향후 독립이 불가피할 때 대안이 될 뚜렷한 주거정책이 없는 실정” 이라며 “이 시범사업을 통해 발달장애인이 보호자 부재 시에도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지속적인 주거지원 모델 개발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영희 서울시 복지기획관은 “한 명의 시민이라도 낙오되지 않고 서울시민 누구나 기본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서울 복지의 목표”라며 “시행 만 1년을 바라보는 발달장애인 지원주택 시범사업이 발달장애인 독립생활의 시대를 여는 시금석이 되고 더 정책이 더욱 진화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1715
  • 기사등록 2018-05-24 16:34:34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국토부, 도심항공교통 K-UAM 핵심 기술개발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도심항공교통(UAM)의 본격 상용화 시점인 성장기(’30년∼)를 대비하여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 사업을 착수한다고 14일 밝혔다.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은 전기동력·저소음 항공기, 수직이착륙장 기반 차세대 첨단교통체계이다. 국토부가 주관하고 기상청이 참여하는 ...
  2. 尹 대통령,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개최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오전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고맙습니다, 함께 보듬는 따뜻한 노동현장’을 주제로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민생토론회는 약 1개월 반 만에 개최되는 회의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5월9일 취임 2주년 국민보고에서 국민의 삶 속으로 더 깊숙이 들어가, 현장 중심으로 ...
  3. 尹 대통령, "국민통합의 가장 중요한 토대는 `성장`, 경제 역동성 높일 것" 윤석열 대통령은 5월13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민통합, 미래로 가는 동행’을 주제로 `국민통합위원회 2023년 하반기 성과보고회`를 주재했다. 이번 회의는 작년 8월 출범한 2기 국민통합위원회의 하반기 주요 활동 성과를 보고하고, 민생현장 소통을 통해 발굴한 정책 제안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국민통합...
  4. 기아, ‘더 뉴 EV6’ 계약 개시...상품성 강화에도 전 트림 가격 동결 기아의 첫 전용 전기차가 더욱 완벽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기아가 상품성을 대폭 강화한 전용 전기차 ‘더 뉴 EV6(The new EV6, 이하 EV6)’의 계약을 14일(화)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기아는 EV6의 상품성을 대폭 강화하면서도 전 트림의 가격을 동결해 뛰어난 상품 경쟁력을 확보했다.2021년 8월 출시된 EV6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의 ...
  5. 대한민국은 왜 외교 후진국인가 대외변수로부터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소규모 개방경제로 한국을 습관적으로 정의하면서도, 그와 동시에 내정과 외치가 별개로 돌아가는 미국식 세계관을 뼛속 깊이 체득한 사람들이 대한민국 외교 정책을 오랫동안 좌지우지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테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