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민 기자
삼성전자가 1분기 연결기분 영업이익이 5조9793억원을 기록했다. 작년 동기대비 8조4888억원과 비교하면 29.56% 감소했지만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 2884억원과 비교하면 13.07%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하반기 스마트폰 부진으로 실적이 둔화된 바 있는 삼성전자는 이번 1분기 반등으로 바닥을 탈출했다는 평가다.
특히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S6의 실적이 반영되기 전에 실적 회복을 보인 것도 의미가 있다. 2분기 부터 갤럭시S6 매출이 본격화되면 반도체 부문과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IM부문의 쌍두마차 체제가 다시 갖춰진다.
삼성전자는 29일 1분기 영업이익 5조7973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47조1179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53조6753억원에 비해 12.22%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4조6258억원으로 전년 동기 7조5744억원에 비해 38.93% 줄었다.
삼성전자는 "지난 1분기는 IT 산업이 계절적 비수기인 상황에서 유로화와 이머징 국가의 통화 약세, 유럽 국가의 재정위기 등 불안한 경제 상황이 지속됐다"며 "다만 갤럭시S6 출시에 따른 부품 사업 호조와 스마트폰 사업 실적 개선에 힘입어 이익이 개선됐다"고 밝혔다.
부문별로 반도체는 1분기 매출 10조2700억원, 영업이익 2조9300억원을 달성했다. 메모리는 계절적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원가경쟁력을 확보해 수익성을 확보했고 시스템LSI는 14나노 모바일 AP 제품 양산으로 수익성을 개선했다.
디스플레이 부문은 매출 6조8500억원, 영업이익 5200억원을 기록했다. LCD 부문은 TV 패널 수요가 줄었지만 프리미엄 패널의 판매 증가로 견조한 실적이 가능했다.
IM 부문은 매출 25조8900억원에 영업이익 2조7400억원을 달성했다. 매출액은 스마트폰 판매 증가에도 불구하고 태블릿, 피처폰 물량 감소 등으로 소폭 감소했으나 마케팅 비용 절감과 갤럭시 중저가 모델 판매에 힘입어 수익성은 개선됐다.
CE 부문은 매출 10조2600억원에 영업이익은 140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평판 TV 시장이 계절적 비수기였고 구주와 신흥국의 환율 하락으로 수익성이 둔화됐다.
삼성전자는 이머징 국가의 환율 약세에 따른 환율 효과로 8000억원의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TV 등 세트 사업은 유로화와 이머징 국가 통화 약세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삼성전자는 2분기 실적은 개선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갤럭시S6의 판매가 본격화되고 반도체 등의 실적 호전이 예상된다. 특히 갤럭시 S6에 탑재되는 AP 등 비메모리 반도체의 성장으로 시스템LSI 사업을 중심으로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