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글로벌인프라펀드, 삼성물산 터키 플랜트 건설 지원 - 4천만달러 규모… 첫 번째 투자대상으로 검토

이승민 기자

  • 기사등록 2015-04-27 10:59:51
기사수정

국토교통부가 기업의 해외 건설투자 사업 진출을 돕기 위해 조성한 민관 합동 펀드인 글로벌인프라펀드가 삼성물산의 터키 가스복합화력 발전소 건설 사업에 최대 4000만 달러를 지원한다.

27일 국토부와 KDB인프라자산운용에 따르면 글로벌인프라펀드는 첫 번째 투자대상으로 사업비 11000억 원 규모의 터키 가스복합화력발전소 건설 사업을 검토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터키 수도인 앙카라에서 동쪽으로 60떨어진 키리칼레 지역에 950규모의 민자 가스복합화력 발전소를 짓는 공사다. 수주를 맡은 삼성물산은 설계·구매·시공(EPC)을 단독으로 일괄 수행하게 된다.

글로벌인프라펀드는 이 사업에 최대 430억 원을 지원하기로 하고, 상반기 내 금융 계약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글로벌인프라펀드는 지난 200912월 민·관이 1000억원씩 투자해 2000억원 규모로 조성했지만 4년간 투자 성과가 없었다. 이에 국토부는 지난해 펀드 규모를 4000억원으로 확대하고 KDB인프라자산운용으로 운용사를 선정했다.

국토부는 글로벌인프라펀드의 1호 사업이 터키 가스복합화력 발전소 건설사업으로 선정됨에 따라 올해 중 최소 2~3개의 추가 프로젝트를 수주할 계획이다.

실제로 터키 사업보다 먼저 글로벌인프라펀드 1호로 추진했으나 사업규모가 커 검토시간이 다소 걸렸던 4조원 규모의 카자흐스탄 화력발전소 사업이 글로벌인프라펀드 2호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카자흐스탄 발하쉬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사업은 국내기업이 건설 및 운영권을 확보해 추진 중인 민자사업으로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의 카자흐스탄 순방 때 전력판매계약이 체결됐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16879
  • 기사등록 2015-04-27 10:59:51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국토부, 도심항공교통 K-UAM 핵심 기술개발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도심항공교통(UAM)의 본격 상용화 시점인 성장기(’30년∼)를 대비하여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 사업을 착수한다고 14일 밝혔다.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은 전기동력·저소음 항공기, 수직이착륙장 기반 차세대 첨단교통체계이다. 국토부가 주관하고 기상청이 참여하는 ...
  2. 尹 대통령,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개최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오전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고맙습니다, 함께 보듬는 따뜻한 노동현장’을 주제로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민생토론회는 약 1개월 반 만에 개최되는 회의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5월9일 취임 2주년 국민보고에서 국민의 삶 속으로 더 깊숙이 들어가, 현장 중심으로 ...
  3. 尹 대통령, "국민통합의 가장 중요한 토대는 `성장`, 경제 역동성 높일 것" 윤석열 대통령은 5월13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민통합, 미래로 가는 동행’을 주제로 `국민통합위원회 2023년 하반기 성과보고회`를 주재했다. 이번 회의는 작년 8월 출범한 2기 국민통합위원회의 하반기 주요 활동 성과를 보고하고, 민생현장 소통을 통해 발굴한 정책 제안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국민통합...
  4. 기아, ‘더 뉴 EV6’ 계약 개시...상품성 강화에도 전 트림 가격 동결 기아의 첫 전용 전기차가 더욱 완벽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기아가 상품성을 대폭 강화한 전용 전기차 ‘더 뉴 EV6(The new EV6, 이하 EV6)’의 계약을 14일(화)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기아는 EV6의 상품성을 대폭 강화하면서도 전 트림의 가격을 동결해 뛰어난 상품 경쟁력을 확보했다.2021년 8월 출시된 EV6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의 ...
  5. 대한민국은 왜 외교 후진국인가 대외변수로부터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소규모 개방경제로 한국을 습관적으로 정의하면서도, 그와 동시에 내정과 외치가 별개로 돌아가는 미국식 세계관을 뼛속 깊이 체득한 사람들이 대한민국 외교 정책을 오랫동안 좌지우지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테다
포커스 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