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로봇트레인 DMZ-열차' 뜬다…어린이날 첫 운행 - 코레일·CJ E&M '관광상품' 출시…캐릭터로 래핑된 DMZ-트레인

이승민 기자

  • 기사등록 2015-04-23 13:10:28
기사수정

코레일이 종합 콘텐츠 기업 CJ E&M과 함께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로봇트레인과 함께하는 DMZ 기차여행'을 선보인다고 23일 밝혔다.

어린이날 첫 운행하는 '로봇트레인 기차여행'CJ E&M의 인기 TV 애니메이션 로봇트레인의 주인공인 변신기차로봇 '케이' 캐릭터로 랩핑된 DMZ-트레인 열차를 타고 경의선 임진강역의 케이 하우스와 평화누리공원으로 떠나는 여행상품이다
 

▲ 캐릭터로 포장된 DMZ-트레인

서울역과 임진강역 코스를 운행하며 기차여행을 통해 '로봇트레인' 애니메이션이 추구하는 새로운 세계로의 모험과 성장의 메시지를 컨셉트로 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열차에서는 '로봇트레인' 애니메이션이 상영되며 빙고·절대음감·골든벨 등 어린이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차내 이벤트가 진행된다.

또 부모들과 함께 하는 프로그램도 마련돼 야외에서 애니메이션 콘텐츠로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로봇트레인 DMZ 기차여행'은 어린이날인 5일과 매주 주말(9~10, 16~17, 23~24) 7일간 오전·오후 하루 2회 운행한다.

가격은 1인당 35800원이며 패밀리레스토랑 빕스(VIPS)에서 제공하는 피크닉박스 중식과 어린이들에게는 로봇트레인 완구 기념품을 증정한다.

자세한 내용은 코레일홈페이지(www.letskorail.com)와 코레일관광개발 홈페이지(www.korailtravel.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여행상품은 지난해 10월 코레일과 CJ E&M'캐릭터를 활용한 철도 관광사업 제휴협약'의 첫번째 성과로 코레일의 전국적 철도 인프라와 CJ E&M의 문화 콘텐츠의 강점을 연계한 협력방안의 결과물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16675
  • 기사등록 2015-04-23 13:10:28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국토부, 도심항공교통 K-UAM 핵심 기술개발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도심항공교통(UAM)의 본격 상용화 시점인 성장기(’30년∼)를 대비하여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 사업을 착수한다고 14일 밝혔다.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은 전기동력·저소음 항공기, 수직이착륙장 기반 차세대 첨단교통체계이다. 국토부가 주관하고 기상청이 참여하는 ...
  2. 尹 대통령,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개최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오전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고맙습니다, 함께 보듬는 따뜻한 노동현장’을 주제로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민생토론회는 약 1개월 반 만에 개최되는 회의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5월9일 취임 2주년 국민보고에서 국민의 삶 속으로 더 깊숙이 들어가, 현장 중심으로 ...
  3. 尹 대통령, "국민통합의 가장 중요한 토대는 `성장`, 경제 역동성 높일 것" 윤석열 대통령은 5월13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민통합, 미래로 가는 동행’을 주제로 `국민통합위원회 2023년 하반기 성과보고회`를 주재했다. 이번 회의는 작년 8월 출범한 2기 국민통합위원회의 하반기 주요 활동 성과를 보고하고, 민생현장 소통을 통해 발굴한 정책 제안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국민통합...
  4. 기아, ‘더 뉴 EV6’ 계약 개시...상품성 강화에도 전 트림 가격 동결 기아의 첫 전용 전기차가 더욱 완벽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기아가 상품성을 대폭 강화한 전용 전기차 ‘더 뉴 EV6(The new EV6, 이하 EV6)’의 계약을 14일(화)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기아는 EV6의 상품성을 대폭 강화하면서도 전 트림의 가격을 동결해 뛰어난 상품 경쟁력을 확보했다.2021년 8월 출시된 EV6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의 ...
  5. 대한민국은 왜 외교 후진국인가 대외변수로부터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소규모 개방경제로 한국을 습관적으로 정의하면서도, 그와 동시에 내정과 외치가 별개로 돌아가는 미국식 세계관을 뼛속 깊이 체득한 사람들이 대한민국 외교 정책을 오랫동안 좌지우지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테다
포커스 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