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면세점사업, 때아닌 '사회공헌' 열풍 - 관세청, 특허 심사때 '사회 환원.상생협력' 150점 배정..사업권 희비 가를수도

이승민 기자

  • 기사등록 2015-04-22 15:35:06
기사수정

서울 시내 면세사업에 도전장을 내민 대기업들 사이에서 때아닌 '사회공헌' 열풍이 불고 있다. 

관세청이 면세점 특허 심사에서 기부나 동반성장을 위한 노력 등을 주요 평가 요소로 내세우면서 기업간 사회공헌활동 과열 경쟁이 빚어지고 있다. 

▲ 7일 오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전통시장 우수 상품 페어에서 참석자들이 찰보리빵을 맛보고 있다. 왼쪽부터 한정화 중소기업청장, 김해성 신세계그룹 사장, 이정현 새누리당 중소기업소상공인 특별위원장, 진병호 전국상인연합회장.

관세청은 이번 특허 심사에서 '기업이익의 사회 환원 및 상생협력 노력정도'에 150점을 배정했다. 총점 1000점의 15% 가량을 차지하는 무시못할 요소다.

관세청 관계자는 "공고를 통해 최근 5년간 기업의 사회환원 정도를 평가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명확한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재무건전성 평가와 달리 사회환원은 기간설정에 어느정도 자율성을 부여할 것"이라고 19일 밝혔다.

이어 "사회공헌은 기업별로 워낙 다양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마감일 직전의 기부나 사회공헌활동도 인정받을 수 있다는 의미로 나름의 사회공헌활동 내역을 최대한 성의껏 제출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예를들어 2010~2014년까지의 사회공헌활동 실적을 제출해도 되고, 특허신청 마감 직전의 기간인 2010년 5월30일부터 2015년 5월 31일까지 사회공헌활동 내역을 제출해도 무방하다는 뜻이다.

이 같은 사회환원 및 상생협력은 사업계획의 충실성에 비하면 덜 중요한 요소인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1, 2등을 사업자로 선정하는 이번 특허 심사에서 심사위원들이 사업계획서에서 큰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할 경우 의외로 사회공헌활동 점수 차이가 희비를 가를 수도 있다.

관세청은 시회공헌 심사에서 크게 '사회환원정도'와 '상생협력' 두가지 분야를 살핀다.

사회환원정도에는 최근 5년간의 기부금 실적, 사회환원 관련 사내제도, 임직원 사회봉사 실적, 영업이익 대비 기부금 비율 등을 들여다 본다.

이와 관련한 최근 사례는 정몽규 현대산업개발 회장의 기부를 들 수 있다. 정 회장은 지난 15일 포니정재단에 자사주 20만 주를 출연하는 방식으로 123억원을 기부했다. 정 회장의 이번 기부로 포니정 재단의 출연금은 설립당시 33억원에서 383억원으로 증가했다. 포니정재단은 새로 확보된 재원을 장학·학술지원 사업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상생협력과 관련해서는 정부 부처의 인증제도를 십분 활용하는 한편, 중소·중견기업과의 공정거래 및 협력관계를 살핀다. 이를 위한 확인 자료로 판촉비용 등 비용부담 현황, 판촉행사 등 행사계획서, 납품업자 선정 계획서, 공동상품기획 및 브랜드개발 실적 등을 새롭게 넣었다.

공동상품기획 및 브랜드개발과 관련한 최근 활동사례로는 신세계를 꼽을 수 있다. 신세계는 지난 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함께 '전통시장 우수상품 페어'를 개최했다. 신세계가 전통시장의 상품을 발굴해 이를 이마트, 백화점 등 신세계 유통채널을 통해 판매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이는 평가 항목 중 공동상품기획 및 브랜드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예전에는 타사의 기부활동이나 사회공헌활동 등에는 별다른 관심이 없었지만 면세점 특허 평가요소가 된 이후로는 관련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내 면세사업 특허에는 현재 SK네트웍스, HDC신라면세점(현대산업개발호텔신라), 신세계, 유진기업, 한화갤러리아, 현대백화점그룹, 호텔롯데 등이 도전하고 있다. 관세청은 오는 6월 1일 까지 특허 신청을 접수한 뒤 15~20명 정도의 심사위원단을 꾸려 7월 말께 대기업 2곳, 중소기업 1곳 등 3개 시내면세점 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16594
  • 기사등록 2015-04-22 15:35:06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국토부, 도심항공교통 K-UAM 핵심 기술개발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도심항공교통(UAM)의 본격 상용화 시점인 성장기(’30년∼)를 대비하여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 사업을 착수한다고 14일 밝혔다.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은 전기동력·저소음 항공기, 수직이착륙장 기반 차세대 첨단교통체계이다. 국토부가 주관하고 기상청이 참여하는 ...
  2. 尹 대통령,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개최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오전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고맙습니다, 함께 보듬는 따뜻한 노동현장’을 주제로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민생토론회는 약 1개월 반 만에 개최되는 회의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5월9일 취임 2주년 국민보고에서 국민의 삶 속으로 더 깊숙이 들어가, 현장 중심으로 ...
  3. 尹 대통령, "국민통합의 가장 중요한 토대는 `성장`, 경제 역동성 높일 것" 윤석열 대통령은 5월13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민통합, 미래로 가는 동행’을 주제로 `국민통합위원회 2023년 하반기 성과보고회`를 주재했다. 이번 회의는 작년 8월 출범한 2기 국민통합위원회의 하반기 주요 활동 성과를 보고하고, 민생현장 소통을 통해 발굴한 정책 제안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국민통합...
  4. 기아, ‘더 뉴 EV6’ 계약 개시...상품성 강화에도 전 트림 가격 동결 기아의 첫 전용 전기차가 더욱 완벽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기아가 상품성을 대폭 강화한 전용 전기차 ‘더 뉴 EV6(The new EV6, 이하 EV6)’의 계약을 14일(화)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기아는 EV6의 상품성을 대폭 강화하면서도 전 트림의 가격을 동결해 뛰어난 상품 경쟁력을 확보했다.2021년 8월 출시된 EV6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의 ...
  5. 대한민국은 왜 외교 후진국인가 대외변수로부터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소규모 개방경제로 한국을 습관적으로 정의하면서도, 그와 동시에 내정과 외치가 별개로 돌아가는 미국식 세계관을 뼛속 깊이 체득한 사람들이 대한민국 외교 정책을 오랫동안 좌지우지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테다
포커스 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