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웅진 '자연은'주스서 강한 신맛.."전량 회수" - HACCP 미인증 공정 제품..아직 6만여개 회수안돼 '소비자 주의보'

이승민 기자

  • 기사등록 2015-04-22 10:49:59
기사수정

웅진식품이 '자연은' 제품에서 강한 신맛이 난다는 소비자들의 신고가 이어져 해당 제품 회수에 나섰다.

하지만 이미 18만여개가 판매된 상태이고, 아직 6만여개가 시중에 유통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22일 웅진식품은 지난 16일부터 충남 유구공장에서 제조된 '자연은 90일 토마토' 제품에서 이상한 신맛이 난다는 소비자들의 불만이 7건 이상 접수돼 6만병 가량을 수거·폐기했다고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유통 과정에서 충격을 받아 밀봉 상태에 이상이 생겼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공기가 들어가면서 산화됐을 수 있다는 것.

웅진식품 관계자는 "해당 제품 100개정도를 수거해서 검사해 본 결과 세균이나 이물질 등에 의한 것은 아니었다"며 "음료같은 경우는 토마토 자체에도 신 맛이 있기도하고 음료가 유통되는 과정에서 충격에 의해 밀봉이 해제돼 산화가 됐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해썹 인증을 받기 위한 준비단계인 만큼 초기에 회수조치를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회수 대상은 지난 3월 7일 생산된 제품(유통기한 2016년 3월 6일)으로 당시 30만개가 생산됐다. 지난 6일 이전까지 18만 개가 팔린 상태이며 6만개가 회수됐다. 아직 6만여개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상태다.

식약처에서도 지난 20일 직접공장을 직접 방문하는 등 조사에 나섰다.

이번에 불만이 제기된 제품은 340ml 용량 제품으로 플라스틱 PET 용기에 담겨져 있다. 제품은 180ml(유리), 340(PET), 500(PET), 1.5L(PET)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토마토즙이 75% 포함된 주스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16569
  • 기사등록 2015-04-22 10:49:59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국토부, 도심항공교통 K-UAM 핵심 기술개발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도심항공교통(UAM)의 본격 상용화 시점인 성장기(’30년∼)를 대비하여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 사업을 착수한다고 14일 밝혔다.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은 전기동력·저소음 항공기, 수직이착륙장 기반 차세대 첨단교통체계이다. 국토부가 주관하고 기상청이 참여하는 ...
  2. 尹 대통령,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개최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오전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고맙습니다, 함께 보듬는 따뜻한 노동현장’을 주제로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민생토론회는 약 1개월 반 만에 개최되는 회의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5월9일 취임 2주년 국민보고에서 국민의 삶 속으로 더 깊숙이 들어가, 현장 중심으로 ...
  3. 尹 대통령, "국민통합의 가장 중요한 토대는 `성장`, 경제 역동성 높일 것" 윤석열 대통령은 5월13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민통합, 미래로 가는 동행’을 주제로 `국민통합위원회 2023년 하반기 성과보고회`를 주재했다. 이번 회의는 작년 8월 출범한 2기 국민통합위원회의 하반기 주요 활동 성과를 보고하고, 민생현장 소통을 통해 발굴한 정책 제안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국민통합...
  4. 기아, ‘더 뉴 EV6’ 계약 개시...상품성 강화에도 전 트림 가격 동결 기아의 첫 전용 전기차가 더욱 완벽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기아가 상품성을 대폭 강화한 전용 전기차 ‘더 뉴 EV6(The new EV6, 이하 EV6)’의 계약을 14일(화)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기아는 EV6의 상품성을 대폭 강화하면서도 전 트림의 가격을 동결해 뛰어난 상품 경쟁력을 확보했다.2021년 8월 출시된 EV6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의 ...
  5. 대한민국은 왜 외교 후진국인가 대외변수로부터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소규모 개방경제로 한국을 습관적으로 정의하면서도, 그와 동시에 내정과 외치가 별개로 돌아가는 미국식 세계관을 뼛속 깊이 체득한 사람들이 대한민국 외교 정책을 오랫동안 좌지우지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테다
포커스 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