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경남기업, 42년 상장역사 마감한다 - 15일 상장폐지… 마지막날 113원 기록

이승민 기자

  • 기사등록 2015-04-15 14:28:38
기사수정
국내 1호 상장 건설사인 경남기업이 상장 42년 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 15일 상장폐지 됨에 따라 유가증권시장서 퇴출되기 때문이다.

자원외교 비리로 인해 성완종 전 회장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가운데 '자본 전액잠식''감사의견 거절'이 퇴출로 이어졌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경남기업의 주가는 정리매매 마지막 날인 이날 113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전날보다는 44.6%, 지난해 말 종가(4810)보다는 97.6% 하락한 수치다.
 
 
▲ 국내 건설사 1호 상장사인 경남기업이 완전자본잠식을 해결하지 못하고 결국 주식시장에서 퇴출된다. 1973년 주식시장 상장 이래 이래 42년 만의 일이다. 서울 동대문구 답십리동 경남기업 본사.

한때 225000원을 기록했던 경남기업 주가가 휴지조각 신세가 되면서 주식을 보유한 채권은행과 투자자들은 손실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실제 수출입은행은 정리매매 첫날부터 이틀간 경남기업 4634200(지분율 10.93%) 전량을 주당 676원에 팔아 약 200억원의 손실을 본 것으로 추정된다.

산업은행과 신한은행도 출자전환으로 보유하게 된 경남기업 주식을 내다 팔아 각각 120억원 안팎의 매각 손실을 낸 것으로 보인다.

경남기업의 회생 가능성을 보고 추격 매수한 개인투자자들의 피해도 우려된다경남기업 주가는 정리매매 첫날인 지난 688.64% 급락했다가 기업회생절차 개시 결정이 내려진 지난 894.91% 급등했다. 이후 다시 급락세로 돌아면서 전일 204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매수 상위와 매도 상위 주문이 가장 많은 창구는 키움증권이다. 키움증권은 통상 개인투자자가 주로 이용하는 증권사로 알려져 있다.

한편 경남기업은 지난 19518월 대구에서 경남토건이란 이름으로 설립돼 19732월 국내 건설사 가운데 처음으로 주식시장에 상장했다.

1987년에는 대우그룹 계열사로 편입됐고, 1994년에는 주가가 최고 225000원까지 상승했다. 그러나 199911월 워크아웃 대상업체로 지정되고 20004월 대우그룹서 분리됐다.

200212월 워크아웃 조기졸하고, 2004년 대아건설을 흡수합병하며 시총 20위권의 중견 건설사로 성장했다

그러나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로 국내외 건설경기가 침체에 빠지면서 2009년 다시 워크아웃 업체로 지정됐다. 20115월 졸업하지만, 2013년 말 다시 워크아웃을 신청했다.

최근에는 해외 자원개발 사업 실패가 부담으로 작용했다. 자체 투자 자금을 거둬들이지 못해 적자가 누적돼 20133109억원, 지난해 4084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채권단에 전환사채 903억원 출자전환과 긴급 운영자금 1100억원을 요구했지만 거절당했다. 또한 자원외교 비리의 표적으로 지목돼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서울중앙지방법원은 경남기업의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16099
  • 기사등록 2015-04-15 14:28:38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국토부, 도심항공교통 K-UAM 핵심 기술개발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도심항공교통(UAM)의 본격 상용화 시점인 성장기(’30년∼)를 대비하여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 사업을 착수한다고 14일 밝혔다.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은 전기동력·저소음 항공기, 수직이착륙장 기반 차세대 첨단교통체계이다. 국토부가 주관하고 기상청이 참여하는 ...
  2. 尹 대통령,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개최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오전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고맙습니다, 함께 보듬는 따뜻한 노동현장’을 주제로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민생토론회는 약 1개월 반 만에 개최되는 회의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5월9일 취임 2주년 국민보고에서 국민의 삶 속으로 더 깊숙이 들어가, 현장 중심으로 ...
  3. 尹 대통령, "국민통합의 가장 중요한 토대는 `성장`, 경제 역동성 높일 것" 윤석열 대통령은 5월13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민통합, 미래로 가는 동행’을 주제로 `국민통합위원회 2023년 하반기 성과보고회`를 주재했다. 이번 회의는 작년 8월 출범한 2기 국민통합위원회의 하반기 주요 활동 성과를 보고하고, 민생현장 소통을 통해 발굴한 정책 제안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국민통합...
  4. 기아, ‘더 뉴 EV6’ 계약 개시...상품성 강화에도 전 트림 가격 동결 기아의 첫 전용 전기차가 더욱 완벽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기아가 상품성을 대폭 강화한 전용 전기차 ‘더 뉴 EV6(The new EV6, 이하 EV6)’의 계약을 14일(화)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기아는 EV6의 상품성을 대폭 강화하면서도 전 트림의 가격을 동결해 뛰어난 상품 경쟁력을 확보했다.2021년 8월 출시된 EV6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의 ...
  5. 대한민국은 왜 외교 후진국인가 대외변수로부터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소규모 개방경제로 한국을 습관적으로 정의하면서도, 그와 동시에 내정과 외치가 별개로 돌아가는 미국식 세계관을 뼛속 깊이 체득한 사람들이 대한민국 외교 정책을 오랫동안 좌지우지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테다
포커스 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