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대성산업 김정한 사장 경영실패 사장직 사퇴 - 김영대 회장의 장남… 그룹 경영 승계 삼남으로 이동 관측

조보건 기자 기자

  • 기사등록 2015-04-08 17:40:18
기사수정
▲ 대성산업이 JR투자회사에 매각한 서울 신도림 디큐브시티.

김정한 대성산업 사장이 경영실패 논란 끝에 사퇴했다.

대성산업은 지난 2010년 6월 선임돼 기계사업부 사장을 맡아오던 김정한 사장이 사퇴했다고 지난 6일 공시했다.

김사장의 사퇴로 그룹의 후계구도에도 변화가 감지된다. 김 전 대표는 대한적십자 총재를 맡고 있는 김성주 성주그룹 회장의 조카이자, 김영대 대성산업 회장의 장남이다.

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김 사장은 본인 회사인 라파바이오 경영에 집중할 것으로 전해졌다. 라파바이오는 임플란트 제조 판매사로 최대주주는 제이헨이다. 김 전 사장은 제이헨의 지분 50%를 보유하고 있다.

이에 대해 관련 업계는 김 전 대표가 경영실패 책임을 짐과 동시에 그룹의 승계구도가 장남에서 삼남인 김신한(40) 유통·건설사업부 사장으로 이동하는 모양새라고 관측했다.

대성산업은 김 전 대표의 취임 이후 심각한 부실상태에 빠졌다. 2014년 연결 기준 대성산업은 1조1228억원의 매출을 올렸지만, 166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특히 순손실은 전년(3072억원)보다 34%나 더 악화된 4127억원으로 집계됐다.

실적이 악화되면서 유동부채는 유동자산을 6862억원이나 초과했고, 지난해 말 부채비율은 1만2675%나 됐다.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가운데 부채비율이 가장 높다.

대성산업의 실적 악화 원인으로는 건설부문과 유통부문의 부진이 꼽힌다. 기존 석유사업에서 사업을 다각화한 대성산업은 아파트 건설과 백화점 운영에 나섰지만, 미분양과 운영미숙으로 손실만 확대됐다.

증권가에서는 "현재 대성산업은 금융비용이 늘어나면서 재무상황이 추가로 악화되는 악순환에 빠져있다"고 진단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15673
  • 기사등록 2015-04-08 17:40:18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국토부, 도심항공교통 K-UAM 핵심 기술개발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도심항공교통(UAM)의 본격 상용화 시점인 성장기(’30년∼)를 대비하여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 사업을 착수한다고 14일 밝혔다.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은 전기동력·저소음 항공기, 수직이착륙장 기반 차세대 첨단교통체계이다. 국토부가 주관하고 기상청이 참여하는 ...
  2. 尹 대통령,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개최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오전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고맙습니다, 함께 보듬는 따뜻한 노동현장’을 주제로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민생토론회는 약 1개월 반 만에 개최되는 회의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5월9일 취임 2주년 국민보고에서 국민의 삶 속으로 더 깊숙이 들어가, 현장 중심으로 ...
  3. 尹 대통령, "국민통합의 가장 중요한 토대는 `성장`, 경제 역동성 높일 것" 윤석열 대통령은 5월13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민통합, 미래로 가는 동행’을 주제로 `국민통합위원회 2023년 하반기 성과보고회`를 주재했다. 이번 회의는 작년 8월 출범한 2기 국민통합위원회의 하반기 주요 활동 성과를 보고하고, 민생현장 소통을 통해 발굴한 정책 제안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국민통합...
  4. 기아, ‘더 뉴 EV6’ 계약 개시...상품성 강화에도 전 트림 가격 동결 기아의 첫 전용 전기차가 더욱 완벽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기아가 상품성을 대폭 강화한 전용 전기차 ‘더 뉴 EV6(The new EV6, 이하 EV6)’의 계약을 14일(화)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기아는 EV6의 상품성을 대폭 강화하면서도 전 트림의 가격을 동결해 뛰어난 상품 경쟁력을 확보했다.2021년 8월 출시된 EV6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의 ...
  5. 대한민국은 왜 외교 후진국인가 대외변수로부터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소규모 개방경제로 한국을 습관적으로 정의하면서도, 그와 동시에 내정과 외치가 별개로 돌아가는 미국식 세계관을 뼛속 깊이 체득한 사람들이 대한민국 외교 정책을 오랫동안 좌지우지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테다
포커스 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