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5대 대형 건설기업 전무급 경영진 모두 104명 - 서울대 출신 25%, 여성임원 0명∙∙∙삼성물산 외국인 영입

최명찬 기자 기자

  • 기사등록 2015-04-07 09:46:44
기사수정

국내 5대 대형 건설 기업체 전무급 이상 경영진은 총 104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외국계 인사를 경영진으로 영입한 업체는 삼성물산이 유일했으며 고졸 출신으로 유일하게 대표이사(CEO)자리에 오른 임원은 이철균 대림산업 사장이었다. 또 현대건설의 돈줄을 쥐고 있는 재무 및 구매담당 임원 모두 현대차그룹에서 내려온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현대건설, 삼성물산 건설부문, 대우건설, GS건설, 대림산업 등 5대 건설업체의 지난해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전무급 이상 경영진은 총 104명으로 조사됐다.

출신학교별(가나다 순)로는 △건국대 2명 △경북대 3명 △경희대 1명 △고려대 9명 △단국대 1명 △부산대 4명 △서강대 2명 △서울대 27명 △서울시립대 1명 △성균관대 6명 △아주대 2명 △연세대 8명 △영남대 1명 △인하대 4명 △전남대 1명 △충남대 1명 △충북대 1명 △한국외대 1명 △한라대 1명 △한양대 10명 △홍익대 1명 △외국계 대학 16명 △고졸 1명으로 나타났다. 전무급 이상 임원 중 1/4 이상은 서울대 출신이 차지했다.

2011년 현대차를 새주인으로 맞은 현대건설은 자금결제와 관련된 권한 대부분을 그룹에서 내려온 경영진이 쥐고 있다. 박동욱 재경본부장과 백경기 경영지원본부장, 서상훈 구매본부장 모두 현대차 출신이다.

글로벌 기업을 강조하는 삼성물산은 전무급 이상 경영진 현황에서도 이같은 기업문화가 드러났다. 다른 건설업체 경영진은 모두 국내 기업에서 경험을 쌓은 정통 건설맨인 반면 삼성물산은 외국계 임원 7명을 영입했다.

현대건설과 대림산업 등은 30년 이상 해당 기업에서 근무한 직원이 임원으로 승진하는 경우가 많았다. 현대건설 전무급 이상 경영진 중 근속 30년이 넘는 임원은 전체 17명 중 9명에 달했다. 대우건설 임원의 평균 근속연수(전체 재직기간)가 25년으로 가장 길었고 현대건설, 대림산업, GS건설은 각각 20년8개월, 24년, 20년1개월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은 국내 건설업 역사를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전통 건설업체들로 현장에서 오랜 경험을 쌓은 임원들이 대부분 경영진으로 승진했다.

한편 5대 건설업체 임원 중 고졸 출신으로 최고 경영자 자리에 오른 유일한 인물은 이철균 대림산업 사장이다. 서울 용산공고 기계공학과를 졸업한 이 사장은 1981년 대림산업에 입사해 플랜트 부문에서 잔뼈가 굵었다. 5대 건설업체 전무급 이상 임원 중 여성임원은 한 사람도 없었다.

건설기업 관계자는 "명문대 출신이 대부분인 건설업체 경영진 중 고졸 출신으로 최고 경영자 자리에 오른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며 "건설업계 특성상 아직까지는 여성 직원이 고위급 경영진으로 승진하기는 어려운 구조"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15524
  • 기사등록 2015-04-07 09:46:44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추미애와 김부겸의 동병상련 손학규도, 김부겸도, 추미애도 운발이 나빴을지 모른다. 하지만 어쩌겠는가? 오심도 경기의 일부이듯, 운도 실력의 불가피한 구성요소인걸. 민주당 계열 정당에서 주류로 계속 군림하기란 그만큼 힘겹다는 의미이다. 물론, 세 번의 시험 모두에 깔끔하고 완벽하게 통과하고서도 범털이 되지 못하고 만 인간들도 여의도 정치권에는 부지기수...
  2. 윤 대통령, "국가·국민 위해 파이팅하자…한몸으로 뼈가 빠지게 뛰겠다" 윤석열 대통령은 30일 국민의힘 22대 국회의원에게 "앞으로 4년 동안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으로서 국가와 국민을 위해 파이팅 해달라"고 당부했다.윤 대통령은 이날 국민의힘 국회의원 워크숍에 참석해 "여러분 한 분 한 분이 당과 국가의 귀중한 자산"이라며 이같이 말했다.윤 대통령은 "오늘 여러분을 보니 정말 스트레스가 풀리고 힘이 난다...
  3. 정부, 4일 '의료 현안 브리핑'...전공의 사태 '출구전략' 나오나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사태가 석 달 넘게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사태를 일단락시키기 위해 이들의 사직서 수리와 행정처분 등 구체적인 방안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조규홍 장관은 오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의료개혁 관련 현안 브리핑'을 개최한다. 이날 브리핑에서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사태와 ...
  4. '한일중 회의체' 정례화 복원…"한반도 문제 정치적 해결 노력" 한국과 중국, 일본이 3국 정상회의를 다시 정례화하기로 했다. 지난 4년 5개월 동안 중단됐던 3국 정상회의를 재개함으로써 3국 협력체제의 복원과 정상화에 합의한 것이다.한반도 비핵화 문제에는 정치적 해결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기로 했지만, 한일 양국과 중국의 입장이 달라 구체적인 해법에 대한 합의는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5. 경기 일부지역 전세가율 80~90% 등 상승세...깡통전세 우려 최근 3개월 동안 경기도 내 일부지역의 아파트와 연립·다세대의 전세가율(주택매매가격에 대비한 전세가격의 비율)이 80~90%를 넘자, 경기도가 ‘깡통전세’ 위험이 있다며 임차인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경기도는 한국부동산원의 매매·전세 실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 4월 기준 최근 3개월간 아파트, 연립·다세대 전세...
포커스 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