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월급쟁이 주식 부자 1위는 최지성 부회장 - 주식가치 93억…2~5위도 모두 삼성전자 임원

이미연 기자 기자

  • 기사등록 2015-03-19 09:17:58
기사수정


국내 전문 경영인 가운데 오너일가를 제외한 주식부자 1위는 최지성 삼성전자 부회장(그룹 미래전략실장)인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기업분석 전문업체 한국CXO연구소가 국내 100대 기업 임원 3670명의 주식평가액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최 부회장은 삼성전자 보통주 6400주를 보유해 주식 평가액이 지난 13일 기준 주당 145만 7000원으로 평가액을 계산하면 93억2480만원이다.

10위 안에 6명이 삼성전자 출신 또는 현직 임원들이 포진했다. 2위는 삼성전자 김성식 전문위원(68억3187만원), 3위 조수인 사장(45억6478만원) 4위 박병하 전무(45억 1961만원), 5위 권오현 부회장(43억 7100만원) 등이다. 조사 대상자 중 주식평가액이 10억원 이상인 사람은 총 111명이었다. 이 가운데 61%인 68명이 삼성전자 출신이다.

이어 6위 민영진 KT&G 사장(39억9640만 원), 7위 이재호 CJ제일제당 부사장(39억5442만원), 9위 김정남 동부화재 사장(35억4050만원), 10위 차석용 부회장(31억4000만 원, 우선주 기준)이 열 손가락 안에 들었다.

주요 기업별로 주식 부자 1위는 김반석 LG화학 부회장(33억7827만원), 정수경 현대모비스 이사(25억500만원), 김동철 에쓰오일 김동철 부사장(23억7027만원), 안현모 기아자동차 부회장(16억5599만원), 최치준 삼성전기 전 사장(16억5437만원), 김신 삼성물산 사장(14억8911만원), 강학서 현대제철 사장(13억7000만원), 강성영 삼성엔지니어링 부사장(12억6540만원) 등이 꼽혔다.

한편 조사 대상 가운데 주식평가액이 5억원 이상 10억원 미만은 114명, 1억원 이상 5억원 미만은 682명으로 조사됐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14978
  • 기사등록 2015-03-19 09:17:58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국토부, 도심항공교통 K-UAM 핵심 기술개발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도심항공교통(UAM)의 본격 상용화 시점인 성장기(’30년∼)를 대비하여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 사업을 착수한다고 14일 밝혔다.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은 전기동력·저소음 항공기, 수직이착륙장 기반 차세대 첨단교통체계이다. 국토부가 주관하고 기상청이 참여하는 ...
  2. 尹 대통령,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개최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오전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고맙습니다, 함께 보듬는 따뜻한 노동현장’을 주제로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민생토론회는 약 1개월 반 만에 개최되는 회의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5월9일 취임 2주년 국민보고에서 국민의 삶 속으로 더 깊숙이 들어가, 현장 중심으로 ...
  3. 尹 대통령, "국민통합의 가장 중요한 토대는 `성장`, 경제 역동성 높일 것" 윤석열 대통령은 5월13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민통합, 미래로 가는 동행’을 주제로 `국민통합위원회 2023년 하반기 성과보고회`를 주재했다. 이번 회의는 작년 8월 출범한 2기 국민통합위원회의 하반기 주요 활동 성과를 보고하고, 민생현장 소통을 통해 발굴한 정책 제안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국민통합...
  4. 기아, ‘더 뉴 EV6’ 계약 개시...상품성 강화에도 전 트림 가격 동결 기아의 첫 전용 전기차가 더욱 완벽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기아가 상품성을 대폭 강화한 전용 전기차 ‘더 뉴 EV6(The new EV6, 이하 EV6)’의 계약을 14일(화)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기아는 EV6의 상품성을 대폭 강화하면서도 전 트림의 가격을 동결해 뛰어난 상품 경쟁력을 확보했다.2021년 8월 출시된 EV6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의 ...
  5. 대한민국은 왜 외교 후진국인가 대외변수로부터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소규모 개방경제로 한국을 습관적으로 정의하면서도, 그와 동시에 내정과 외치가 별개로 돌아가는 미국식 세계관을 뼛속 깊이 체득한 사람들이 대한민국 외교 정책을 오랫동안 좌지우지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테다
포커스 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