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여대생이 화이트데이에 가장 받기 싫은 선물은? - 사탕바구니 1위...남학생이 주고 싶은 것은 '사탕과 초콜릿'

구태운 기자 기자

  • 기사등록 2015-03-13 16:49:39
기사수정

▲ 여대생들이 화이트데이에 가장 받기 싫어하는 선물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여대생들은 화이트데이에 '사탕바구니'를 가장 받기 싫어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남학생들은 주고 싶은 선물 1위로 '사탕과 초콜릿'인 것으로 나타났다. 화이트데이 풍경에도 남녀간의 미묘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뜻이다.

알바몬이 최근 대학생 1235명을 대상으로 화이트데이 선물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남자 대학생 10명 중 6명은 선물을 계획하고 있었으며,이들이 생각하고 있는 선물 1위는 '사탕과 초콜릿'(41.2%)이었다. 꽃다발(!3.2%)과 액세서리(11.8%), 직접 적은 손 편지(7.3%)등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남학생들이 생각하는 선물과는 달리 여대생들은 가장 받기 싫은 화이트데이 선물로 '만들어서 파는 비싸고 부피만 큰 사탕바구니'(38.4%)를 꼽았다.
또 '뭐 받고 싶어'라며 사주는선물(15.8%)에 대해서도 거부감을 나타냈다.

여학생들이 가장 바라는 것은 '작아도 진심 어린 선물과 편지'(29.5%)였다. '낭만적인 곳에서의 맛있는 식사와 데이트'(15.8%)도 바라고 있었다.

남학생들은 '선물 없이 담백하게 만나 일상적인 데이트'(24.5%)를 가장 이상적인 화이트데이라고 생각하고 있어 눈길을 끌었다.

이 소식을 접한 누리꾼은 "화이트데이에 사탕을 받기 싫어하다니", "그럼 화이트데이에는 뭘 줘야 할까?", "재밌는 설문조사 결과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14849
  • 기사등록 2015-03-13 16:49:39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국토부, 도심항공교통 K-UAM 핵심 기술개발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도심항공교통(UAM)의 본격 상용화 시점인 성장기(’30년∼)를 대비하여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 사업을 착수한다고 14일 밝혔다.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은 전기동력·저소음 항공기, 수직이착륙장 기반 차세대 첨단교통체계이다. 국토부가 주관하고 기상청이 참여하는 ...
  2. 尹 대통령,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개최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오전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고맙습니다, 함께 보듬는 따뜻한 노동현장’을 주제로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민생토론회는 약 1개월 반 만에 개최되는 회의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5월9일 취임 2주년 국민보고에서 국민의 삶 속으로 더 깊숙이 들어가, 현장 중심으로 ...
  3. 尹 대통령, "국민통합의 가장 중요한 토대는 `성장`, 경제 역동성 높일 것" 윤석열 대통령은 5월13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민통합, 미래로 가는 동행’을 주제로 `국민통합위원회 2023년 하반기 성과보고회`를 주재했다. 이번 회의는 작년 8월 출범한 2기 국민통합위원회의 하반기 주요 활동 성과를 보고하고, 민생현장 소통을 통해 발굴한 정책 제안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국민통합...
  4. 기아, ‘더 뉴 EV6’ 계약 개시...상품성 강화에도 전 트림 가격 동결 기아의 첫 전용 전기차가 더욱 완벽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기아가 상품성을 대폭 강화한 전용 전기차 ‘더 뉴 EV6(The new EV6, 이하 EV6)’의 계약을 14일(화)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기아는 EV6의 상품성을 대폭 강화하면서도 전 트림의 가격을 동결해 뛰어난 상품 경쟁력을 확보했다.2021년 8월 출시된 EV6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의 ...
  5. 대한민국은 왜 외교 후진국인가 대외변수로부터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소규모 개방경제로 한국을 습관적으로 정의하면서도, 그와 동시에 내정과 외치가 별개로 돌아가는 미국식 세계관을 뼛속 깊이 체득한 사람들이 대한민국 외교 정책을 오랫동안 좌지우지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테다
포커스 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