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미친 전세값’... 집값도 넘어섰다. - 서울, 경기지역 매매가 90% 넘는 아파트 속출

이승민 기자

  • 기사등록 2015-02-23 09:24:54
기사수정

전세난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서울지역에서 전세금이 매매가격의 90%를 넘는 아파트가 속출하고 있다. 경기도에서는 아예 전세 가격이 매매가격을 넘어서는 아파트도 등장했다.

이런 현상은 전세금은 가파르게 오르는 반면 매매가격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2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자료에 따르면 서울 성북구 종암동 종암SK아파트 전용면적 59m²의 경우 최근 전세 보증금이 2억4000만 원으로 나타났으나 같은 면적 아파트가 2억4900만 원에 팔린 적이 있어 전세값과 매매 가격의 차이가 900만원에 불과했다. 전세난 속에서 전세금이 치솟으면서 매매가에 바싹 근접한 것이다.

재건축 이주로 전세난이 심각한 강동구의 경우 암사동 선사현대아파트 전용 59m²는 전세가 3억3000만 원까지 올랐다. 이 단지에서 같은 면적대의 아파트가 3억4000만 원에 매매돼 전세가율이 97.1%였다.

경기지역에서는 아예 전세금이 매매가격을 앞지른 곳도 나왔다. 화성시 병점동 한신아파트 전용 60m²는 지난달 거래된 전세금이 최고 1억7000만 원으로 같은 달 이 단지에서 매매된 가격(1억6900만 원)보다 높았다.

이처럼 전세값이 매매가격과 맞먹을 정도로 치솟는 것은 전세물건이 자취를 감췄기 때문이다. 물건 자체가 없다보니 전세값만 천정부지로 뛰고 있는 것이다.

서울지역도 전반적으로 재건축과 월세 전환에 따른 전세 물량부족 여파 등으로 전세가율이 급상승하고 있다. 지난달 전국의 전세가율과 서울지역 전세가율은 각각 70.2%, 66.1%로 모두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14522
  • 기사등록 2015-02-23 09:24:54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국토부, 도심항공교통 K-UAM 핵심 기술개발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도심항공교통(UAM)의 본격 상용화 시점인 성장기(’30년∼)를 대비하여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 사업을 착수한다고 14일 밝혔다.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은 전기동력·저소음 항공기, 수직이착륙장 기반 차세대 첨단교통체계이다. 국토부가 주관하고 기상청이 참여하는 ...
  2. 尹 대통령,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개최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오전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고맙습니다, 함께 보듬는 따뜻한 노동현장’을 주제로 스물다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민생토론회는 약 1개월 반 만에 개최되는 회의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5월9일 취임 2주년 국민보고에서 국민의 삶 속으로 더 깊숙이 들어가, 현장 중심으로 ...
  3. 尹 대통령, "국민통합의 가장 중요한 토대는 `성장`, 경제 역동성 높일 것" 윤석열 대통령은 5월13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민통합, 미래로 가는 동행’을 주제로 `국민통합위원회 2023년 하반기 성과보고회`를 주재했다. 이번 회의는 작년 8월 출범한 2기 국민통합위원회의 하반기 주요 활동 성과를 보고하고, 민생현장 소통을 통해 발굴한 정책 제안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국민통합...
  4. 기아, ‘더 뉴 EV6’ 계약 개시...상품성 강화에도 전 트림 가격 동결 기아의 첫 전용 전기차가 더욱 완벽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기아가 상품성을 대폭 강화한 전용 전기차 ‘더 뉴 EV6(The new EV6, 이하 EV6)’의 계약을 14일(화)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기아는 EV6의 상품성을 대폭 강화하면서도 전 트림의 가격을 동결해 뛰어난 상품 경쟁력을 확보했다.2021년 8월 출시된 EV6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의 ...
  5. 대한민국은 왜 외교 후진국인가 대외변수로부터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소규모 개방경제로 한국을 습관적으로 정의하면서도, 그와 동시에 내정과 외치가 별개로 돌아가는 미국식 세계관을 뼛속 깊이 체득한 사람들이 대한민국 외교 정책을 오랫동안 좌지우지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테다
포커스 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