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마포, 폐스티로폼 알고 보니 "황금알" - 감용기 자체운영 연 1억6800만 원 수익 창출

이승민 기자

  • 기사등록 2014-07-04 16:25:49
기사수정

마포구(구청장 박홍섭)가 당초 민간에 위탁 처리하던 폐스티로폼 처리방식을 구에서 자체적으로 감용기(부피를 축소시키는 기계)를 확보, 직접 운영방식으로 전환하고 폐스티로폼 부산물인 잉고트를 팔아 수익을 창출하는 등 효율적인 청소행정의 본보기가 되고 있다.

마포구는 지난 4월부터 3개월 간 폐스티로폼 감용기를 상암동 차고지에 설치하고 구청 청소행정과의 인력을 배치해 시범운영 중이다.

기존의 폐스티로폼 처리절차는 각 가정 및 사업장에서 폐스티로폼을 배출하면, 대행업체가 수집, 운반하고, 상암동 차고지로 1차 반입된 후, 고양시에 있는 민간위탁 선별장으로 옮겨져 민간업체에서 처리해 왔다.

2013년 마포구의 폐스티로폼 처리량은 284,580kg로 이에 따른 처리비용은 약 2억4418만 원(수집운반비+선별처리비)에 이른다. 이중 선별처리비는 1,399만 원이다.

구는 이 같은 민간위탁에 따른 폐스티로폼 수집운반비와 선별처리비를 아끼기 위해 상암동 차고지에 구 예산으로 감용기를 구매, 설치하고 이 감용기를 가동해 생산된 폐스티로폼의 부산물인 ‘잉고트’를 재활용업체에 판매해 수익금을 내는 등 처리체계를 개선한 것이다.

매각된 잉고트는 재활용업체의 가공 과정을 거쳐 액자 및 건축자재 등으로 다시 태어난다.

최종익 마포구청 자원재활용팀장은 “시범운영 이후 약 2개월 간 잉고트를 생산, 판매해 이미 2800만 원의 재정 수입을 올리고 있다” 며 “감용기 운영 시 연간 1억6800만 원의 재정수입을 얻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구는 3개월간 감용기 시범운영을 거쳐 향후 사회적기업에 위탁하는 등 운영방법을 개선하고, 감용기 설치 운영에 따른 수익금을 ‘마포인재육성 장학재단’에 기탁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일자리 창출은 물론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학업을 못하는 청소년이 없도록 공평한 교육기회 제공에도 힘쓸 계획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13530
  • 기사등록 2014-07-04 16:25:49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