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방과 함께 느끼는 '건강체험코스'

이승민 기자

  • 기사등록 2014-06-13 17:02:39
기사수정

동대문구(구청장 유덕열)가 경쟁력 있고 특색 있는 관광자원을 코스로 개발하고, 구 홈페이지를 통해 국ㆍ내외 관광객에게 소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구는 첫 번째 관광코스로‘한방과 함께 느끼는 건강체험코스’를 마련했다.

◆ 한의약박물관, 한의약에 대한 모든것

서울약령시장의 건너편에 위치한 ‘한의약박물관’은 우리 선조들의 우수한 한의약 문화의 보존ㆍ계승ㆍ발전을 위해 지난 2006년에 건립됐다.

한의약박물관에서는 30여명의 자원봉사자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전국 어린이집원아와 초ㆍ중ㆍ고교생은 물론 국내ㆍ외 관람객들에게 한의약에 대한 친절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

박물관 입구에 들어서면 3D로 된 대형화면에서 음악과 함께 조선시대 동대문구에위치해 가난하고 병든 백성들을 돌보던 보제원에 관한 간략한 설명이 나오고, 이어 문이 열리면서 한의약에 관한 다양한 볼거리가 제공된다.

◆ 서울약령시, 전국 한약재 70% 유통

박물관을 나와 큰길을 마주하고 바라보면 현대식 고층빌딩 사이로 기와로 된 서울약령시 일주문이 보이고, 그 뒤로 동대문구 제기동과 용두동 일대 약 8만여평의 부지에 한의원, 약국, 한약국, 한약방, 한약재 수출·입 및 도·소매상 등1,000여 개의 한의약 관련 전문 업소가 모여 있는 서울약령시를 만나볼 수 있다.
약령시는 약재를 사고 팔기 위해 정기적으로 열리는 장(場)으로, 조선시대 효종때 귀한 한약재의 수집을 위해 주요 약재 생산지에 관찰사를 상주시키고 왕명으로 약재상 집결지를 처음 만들었다고 한다.

지난 1995년에‘서울약령시(전통한약시장지역)’라는 정식 명칭을 받아온 이곳에서는 현재 서울에서 소비되는 인삼과 꿀의 약 75%, 전국 한약재의 70%가 유통되고 있다.

◆ 경희대학교 한의학역사박물관, 한의학 대중화 앞장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은 1948년 설립된 최초의 현대적 한의학 교육기관인 동양대학관으로부터 연원한 동양의과대학이 1965년 고황재단에 병합되면서 발족했다.

경희대학교 한의학역사박물관은 한의학의 대중화를 위해 동서의학의 협력에 앞장서고 전통의학을 계승·발전시키고자 한 한국 한의학의 역사와 자료를 만나 볼수 있는 공간이다.

이곳에서는 고전의서, 임상기록 등의 100여권의 서적과 한의학 관련 유물 30여종및 그 외 역사적 가치가 높은 500여점 이상의 다양한 자료들과 한의학이 발전되어 온 역사적 과정을 담은 설명문이 각 시대별로 전시되어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13469
  • 기사등록 2014-06-13 17:02:39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