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7월 중 은행권 대출 연체율, 다시 상승 전환... 6월보다 0.04%포인트 올라

김치원 기자

  • 기사등록 2019-09-24 15:19:43
기사수정

지난 6월에 내림세를 보이던 국내 은행 대출 연체율이 다음 달인 7월에는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7월 중 대출 연체율이 올라간 건 은행의 신규 연체 발생액(1조4000억원)이 연체 채권 정리액(7000억원)보다 많았기 때문이다.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은행 원화 대출 연체율은 지난 7월 말 현재 0.45%로 한 달 전보다 0.04%포인트 상승했다. 


한 달 전인 지난 6월 말 0.41%를 기록해 석 달 만에 내림세를 보였으나 다시 상승 전환한 것이다.

은행 원화 대출 연체율은 국내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인터넷전문은행·특수은행(협동조합 및 국책은행) 등이 가계와 기업에 원화로 빌려준 전체 대출금 중 1개월 이상 원리금을 연체한 채권 잔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유형별로 보면 기업 대출 연체율이 0.59%로 한 달 전보다 0.06%포인트 상승했다. 대기업 연체율(0.67%)이 0.01%포인트 올랐고, 중소기업(0.57%)과 개인 사업자(0.36%)도 각각 0.07%포인트, 0.04%포인트 상승했다.


가계 대출 연체율도 0.29%로 한 달 전보다 0.02%포인트 올라갔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0.2%)은 전달과 같았지만, 신용대출·예금담보대출 등 주택담보대출 외 대출 연체율(0.49%)이 0.05%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올라간 것은 지방은행을 중심으로 수백억원대 신규 대출 부실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통상 은행권 대출 연체율은 은행이 기존 채권을 정리하는 3·6·9·12월 등 분기말에는 내려갔다가 이후 다시 올라가는 흐름을 보이고, 전체 연체율이 여전히 낮은 수준이어서 7월 연체율이 특별히 많이 올랐다고 보긴 어렵다”고 평가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10558
  • 기사등록 2019-09-24 15:19:43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윤석열, 유승민과 조국을 들었다 놨다 하다 여당에게 4월 10일에 닥칠 것이 유력시되는 패배의 강도와 범위는 통상적인 위기관리 매뉴얼을 가동해선 대처와 극복이 불가능하다. 세간에서 예상하는 바대로 야권이 200석 안팎의 원내 절대 다수 의석을 석권하면 윤 대통령이 임기를 과연 제대로 채울지 수 있을지 불투명해지는 탓이다
  2. 윤석열과 조국의 복수혈전 윤석열은 야당을 상대로는 시행령 통치를 선보이고, 여권 내부와 관련해서는 이준석이 최재형 혁신위로 막 시작에 나서려던 공천개혁 작업을 무산시킨 게 전부였다. 그는 선거법 개정에도 관심이 없었고, 현행 헌법의 개헌에도 별다른 흥미를 보이지 않았다
  3. 윤석열의 72시간 침묵에 담긴 의미는 윤석열 각본, 윤석열 연출, 윤석열 주연의 엽기적인 부조리극의 발단과 결말 사이에 굴곡과 요동이 있었다면 도입부에서 텔리그램 메신저 프로그램의 앙증맞은 체리따봉 이미지로 등장했던 주인공이 마지막 대단원 부분에 이르러서는 자신의 우울한 표정과 무뚝뚝한 육성을 관객들을 향해 생생하게 드러냈다는 점이다
  4. 홍준표의 실패는 현재진행형 절체절명의 위기에 몰린 윤석열은 홍준표를 후계자로 낙점할까? 홍준표는 윤석열의 신임을 받아낼 수완은 차고도 넘친다. 그러나 폭넓은 국민의 지지를 확보할 역량은 빈곤하고 부실하다. 선수로서는 특급이되 지도자로선 이른바 폐급인 모순되고 역설적인 모습은 생계형 정치인의 최종 진화형인 생존형 정치인의 치명적 한계로 평가될 수...
  5. 윤석열, 이제야 정치인이 되려는가 전쟁은 일정한 거리를 두고서 상대방과 총탄과 포화를 주고받는 일이다. 정치는 직접 얼굴을 맞대고 서로의 생각과 의견을 교환하는 일이다. 윤석열은 야권이 국회에서 대통령 탄핵을 노려볼 만한 원내 의석을 확보한 연후에야 정상적 의미의 정치를 비로소 하기 시작했다. 윤 대통령의 검사에서 정치인으로의 때늦고 마지못한 변신이 그 ...
포커스 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