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최근 5년간 흡연 관련 질병 치료환자 991만 명 - 총 진료비 10조5천억 이상! 고소득자가 흡연 관련 질병 치료 더 많아.

윤주성 기자

  • 기사등록 2016-04-08 09:28:37
기사수정

『인재근 의원(서울 도봉갑,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이 보건의 날을 맞아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5년간 주요 흡연 관련 질병(44개)으로 인한 총 진료비는 10조5,432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건강보험이 부담하는 금액은 8조5,000억 원, 환자 본인이 부담하는 금액은 2조431억 원이었다.

또한 같은 기간 흡연 관련 질병으로 인해 진료를 받은 환자 수는 총 9,911,332 명이었으며, 2010년 1,500,317명에서 2015년 1,781,611명으로 5년 동안 281,294명(18.7%)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재근 의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주요 흡연 관련 질병의 총 진료비는 2010년 1조5,116억 원에서 2015년 2조168억 원으로 5,051억 원(33.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건강보험이 부담하는 금액은 2010년 1조2,214억 원에서 2015년 1조6,215억 원으로 4,000억 원(32.7%) 증가했으며, 환자 본인부담금은 같은 기간 2,902억 원에서 3,952억 원으로 1,050억 원(36.1%) 증가했다.

환자 성별로 살펴보면 남자는 7,091,904명, 여자는 2,819,427명으로, 남자가 여자의 2.5배 이상 많게 진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별 현황을 살펴보면 60대가 2,530,788명(25.5%)으로 가장 많은 진료를 받았으며, 이어 50대가 2,382,700명(24.0%), 70대 1,936,395명(19.5%), 40대 1,360,292명(13.7%) 순이었다.

또한 질병별 환자 현황을 살펴보면 고혈압이 4,374,001명으로 절반 가까이(44.1%) 차지했으며, 이어 허혈성심질환이 701,686명(7.0%), 당뇨병이 651,942명(6.5%), 만성폐쇄성폐질환이 643,468명(6.4%) 순이었다.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흡연 관련 질병 치료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 흡연 관련 질병 소득분위별 환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소득수준이 가장 높은 10분위에 해당하는 그룹의 환자 수는 총 1,420,231명으로 가장 많았던 반면, 소득수준이 낮은 2분위 그룹은 761,789명의 환자가 진료를 받아 2배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한편 소득수준이 가장 낮은 1분위 그룹은 5년간 824,789명의 환자가 진료를 받았다. 소득 4분위 그룹(782,848명)보다 많은 인원이다.

인재근 의원은 “흡연으로 인한 건강보험 지출이 매년 늘어나고 있는 것은 큰 문제다. 게다가 정부의 담배 가격 인상 정책은 실효성이 부족하다고 평가받고 있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라며 “정부는 금연정책에 대한 명확한 비전을 제시하고, 특히 저소득층 등을 위한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9972
  • 기사등록 2016-04-08 09:28:37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미아동 345-1 일대, 25층 규모 주거단지로 재탄생… 신속통합기획 확정 서울시는 23일, 수십 년간 개발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던 강북구 미아동 345-1 일대에 대한 신속통합기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획을 통해 해당 지역은 북한산 경관을 살린 조망과 녹지축을 기반으로, 25층 내외의 아파트 1,200세대 규모의 주거단지로 탈바꿈할 전망이다.시는 이번 개발이 지역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주변과의 조화...
  2. 공장 보유 중소·중견기업 중 19.5%만 스마트공장 도입…대부분 기초단계 중소벤처기업부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28일 「제1차 스마트제조혁신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2023년 7월) 이후 처음 실시된 것으로, 중소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 현황을 파악했다.실태조사 결과, 공장을 보유한 중소·중견 제조기업 163,273개사 중 스마트공장을...
  3. “경기도 접경지, 버려진 집을 핫플로! 재탄생(Reborn)” 경기도는 접경지역의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접경지역 시군과 협력해 2025년도 빈집 정비사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도는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7개 시군(고양, 파주, 김포, 양주, 포천, 동두천, 연천)에서 신청한 117개 가운데 정비 기준에 맞는 대상지 32개를 최종 선정해 빈집 정비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선정된 대상지.
  4. 서울시, 부동산 교란행위 70건 적발…“투기 수요 끝까지 추적” 서울시는 부동산시장 혼란을 유발하는 교란행위 근절을 위해 공인중개사무소 현장점검을 실시한 결과 70건의 의심거래를 적발했으며, 자금출처 조사 등 정밀조사와 함께 위법사항 발견 시 강력 대응에 나선다고 1일 밝혔다.서울시는 최근 마포, 성동, 광진, 강동 등 서울 전역의 공인중개사무소를 대상으로 ▲집값 담합 ▲허위계약 신고 ▲..
  5.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더욱 편리하고 친절해진 서비스 제공 국세청이 5월 종합소득세 신고·납부 기간을 맞아 납세자 편의를 대폭 강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4월 25일부터 신고 안내문을 모바일로 발송하며, 모두채움 안내문을 통해 가산세 걱정 없이 쉽게 신고할 수 있게 됐다.2024년도에 종합소득이 있는 개인은 2025년 6월 2일까지 신고·납부해야 하며, 세무서 방문 없이 홈택스(PC), ...
포커스 뉴스더보기
책-퇴진하라
책-보수의종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