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재훈 기자
경찰청은 지난 4월1일 부터 6월30.일까지 3개월 간 서민생활권 주변으로 침투하여 각종 치안불안을 초래하는 조직폭력범죄에 대한 특별 단속을 실시한 결과 전국적으로 조직폭력배 총 1,449명을 검거하여 이중 239명을 구속시키는 성과를 이루었고다.
이는 작년 조직폭력 100일 특별단속(’14.2.24.~6.3.)에 비해 검거인원이 140%(845명) 증가한 것이다.
금번 특별단속 기간 중 경찰은 집단폭행?갈취 등 전형적인 조직폭력범죄 뿐만 아니라 합법을 가장한 음성적 활동을 통해 경제 활성화를 저해하는 조직폭력배를 폭넓게 단속하였다. 최근 폭력조직의 활동방식이 소규모화?지능화로 인해 조직폭력 범죄에 대한 첩보수집 및 단속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경찰은 각 지방청 광역수사대를 중심으로 조폭수사 전담체제를 구축하고, 조직폭력배 간 상호 연계성을 분석하여 실제 활동 중인 조직폭력배 단속에 주력하였다. 특별단속 결과에 의하면, 폭력조직은 기존 대규모 조직원을 거느린 채 유흥업소 보호비 등을 갈취해오던 전통적 활동방식에서 탈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소규모 조직으로 재편한뒤 각종 이권에 불법 개입하고, 필요 시에는 타 조직원과 제휴하거나 이합집산 하여 불법행위를 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었다.
폭력,갈취 등 전형적인 범죄유형이 전체 검거인원에서 73.6% (1,065명)를 차지하고 있으나, 최근 2년 간 폭력.갈취범죄의 비중인 79.9%에 비하면 6.1%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30대이하의 조폭이 76.6%를 차지하고 있고, 조직규모 10인 이하의 비중이 47.3%, 활동기간 1년 미만 조직이 63.2%를 차지하는 등 소규모로 단기간에 이합집산을 반복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3년 간 무직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하고 있으며(’13년 77.9% → ’14년 67.8% → ’15년 62.2%), 이는 합법을 가장한 수익 창출 및 조직자금 조달을 위해 대외적으로 평범한 직업을 유지하고 있는 조직원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경찰은 서민의 어려운 경제여건을 더욱 악화시키는 조직폭력 범죄에 대해 지속적으로 특별단속을 전개할 예정이다.
또한, 서민생활 주변에서 각종 이권에 개입하여 불법행위를 저지르는 조직폭력 범죄를 근절하기 위해, 금융정보분석원 및 국세청 등 관련기관과 협업하여 조직폭력의 자금원을 끝까지 추적하는 등 폭력조직을 해체해 나갈 방침이다.
경찰청은 피해를 당하였거나 피해사례를 알고 있는 국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안전한 사회 구현을 위한 국민 여러분의 신고와 제보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