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승원 기자
건설 기초 소재 전문 기업인 삼표그룹(회장 정도원)이 산업 현장의 안전 관리 강화와 재해 발생 시 위기 대응 능력 향상을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삼표그룹이 지난 25일 서울 바비엥2 교육센터에서 ‘2025년 임원 안전 세션’을 열고 안전 최우선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안전보건을 강조하며 체계적 운영 방침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이어갔다. [사진=삼표그룹 제공]
삼표그룹은 지난 25일 서울 바비엥2 교육센터에서 전 계열사 임원들을 대상으로 ‘2025년 임원 안전 세션’을 개최하고, 각 사업 부문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안전 교육을 진행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교육은 임원들의 안전 의식을 고취하고, 실질적인 작업 환경 개선을 위한 심도 있는 논의의 장이 되었다는 평가다.
특히 삼표그룹의 주력 사업인 시멘트를 비롯해 레미콘, 골재, 철도, 콘크리트, 환경자원, 건설소재 등 총 7개 부문에 대한 심층적인 위험 요소 분석과 실질적인 안전 대응 방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교육의 초점이 맞춰졌다.
시멘트 부문에서는 ‘작업자 스스로 지키는 안전 문화’를 강조하며, 현장 작업자가 직접 위험성 평가와 안전작업표준서를 작성하여 자발적인 안전 행동을 유도하고 동료의 안전까지 책임지는 상호 보완적인 소통의 중요성을 부각했다.
레미콘 부문은 안전 관리 수준을 ‘의존적’ 단계에서 ‘독립적’ 단계로 끌어올리는 중장기 목표를 설정하고, 안전관리 책임자를 중심으로 경영진 안전 관찰 활동(VFL·Visible Felt Leadership)을 확대 시행할 방침이다.
골재 부문은 작업 전 안전 점검 회의(TBM, Tool Box Meeting)를 명확히 하고, 작업 방법 및 위험 요인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맞춤형 동영상을 제작하여 작업자 간의 상호 확인 및 논의, 공유를 활성화하여 산업 재해 예방의 핵심 수단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철도 부문은 ‘안전 점검 5 POINT’ 운영 및 위험 예지 훈련을 확립하여, 설비별 근로자가 작업 시작 전 불티 비산 방지 조치 및 유압유 누유 상태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점검표를 시각화하고, 위험 요인 식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위험 예지 훈련을 적극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레미콘(콘크리트) 부문은 안전 점검 항목을 객관화 및 수치화하여 안전 의식 수준을 분석하고 취약점을 보완한다. 안전 작업 절차에 대한 체크리스트인 ‘8행 5금’을 활용하여 객관적인 수치로 평가하고, 자재 입고부터 생산, 보수, 출하까지 사업장별 측정을 통해 잠재적인 위험 요인을 예측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환경자원 부문은 생산직(협력사) 중심의 안전 워크숍을 실시하여 안전에 대한 관심과 자율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건설소재 부문은 안전 감시단 운영을 통해 현장 수시 점검 및 안전 업무 지원을 강화하여 공사 현장 밀착 관리에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특히 삼표그룹은 건설 현장의 사고 예방을 위해 업계 최초로 인공지능(AI)·로봇 기술을 접목한 안전 시스템 도입을 앞두고 있으며, 각 공장별 맞춤형 개별 관제 시스템을 구축하여 작업장 내 위험 요소와 안전 상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안전 관리를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삼표그룹 관계자는 “각 부문별 산업 현장의 안전 활동에 대한 상시적인 위험성 평가 분석을 강화하고, 질적인 보완을 중심으로 단계적인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임직원들과의 긴밀한 소통과 철저한 교차 점검을 통해 자율적인 안전 실천 문화를 확고히 정착시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