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테미스토클레스, 김대중과 김영삼을 섞어놓다 - 전략과 용단의 리더십 : 테미스토클레스 (1)

공희준 편집위원

  • 기사등록 2020-10-13 18:45:55
기사수정
<p>“내 어머니는 평생 작은댁으로 사셨다.”</p><p>&nbsp;</p><p>필자는 「김대중 자서전」의 서두 부분에서 이 구절을 접하고 마치 둔기로 뒷머리를 얻어맞은 것 같은 충격을 느꼈다. 그 충격은 이내 먹먹함의 감정으로 바뀌었다. 반세기 가까이 우리나라 국민 거의 전부가 알고 있는 유명 정치지도자로 활동해왔으며, 수많은 역경과 시련을 극복하고서 마침내 대한민국 대통령이 되어 결국에는 노벨 평화상까지 수상했던 김대중 전 대통령마저 자신의 아픈 개인적 과거사를 사후에, 그것도 간접 화법인 문자의 형식을 빌려서야 어렵게 밝힐 수가 있었기 때문이다.</p><p>&nbsp;</p><p>“내 어머니는 야만인이셨다.”</p><p>&nbsp;</p><p>테미스토클레스(BC 524~BC 459)가 만약에 회고록을 출판했다면 이와 같이 첫 문장을 시작했을지도 모른다. 그가 인류사에 미친 영향력의 창대함과 비교해 그의 모계가 너무나 한미한 이유에서였다.</p><p><span class="fr-img-caption fr-fic fr-dib" style="width: 650px;"><span class="fr-img-wrap"><img src="/data/cheditor4/2010/8d3a42b04a4a9a906be3f240dba5e983fc0c64f1.jpg"><span class="fr-inner">테미스토클레스는 DJ의 입지전과 YS의 돌파력을 모두 갖춘 인물이었다. (사진-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span></span></span></p><p>테미스토클레스의 아버지는 전형적 흙수저였다. 따라서 테미스토클레스는 고대 희랍 세계를 주름 잡은 대다수 걸출한 인물들과는 달리 본인을 헤라클레스나 아킬레우스 같은 전설상의 영웅의 후손이라고 자처하기가 어려웠다. 그의 아버지가 외국인 아내를 맞이해 다문화 가정을 꾸린 일도 본질적으로는 궁핍한 경제적 사정에서 비롯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외국인을 오랑캐 또는 야만인이라 깔보며 업신여긴 사실에서는 고대의 아테네 민주정과 전제왕조 시대의 중국이 피차일반이었다.</p><p>&nbsp;</p><p>출신은 보잘것없었어도 테미스토클레스는 아주 어린 시절부터 될성부른 나무였다. 떡잎부터 다른 테미스토클레스의 잠재적 진가를 알아본 스승은 이렇게 평가하였다.</p><p>&nbsp;</p><p>“의인이든 악당이든 간에 분명 난 놈이 될 녀석이다.”</p><p>&nbsp;</p><p>소년 테미스토클레스는 두뇌회전이 빠르고 신체동작이 민첩했다. 그의 일평생을 관통할 특질인 적극적 자세와 진취적 기상은 이미 일찌감치 어릴 때부터 체득된 덕목이었다.</p><p>&nbsp;</p><p>학교가 파하면 여느 아이들은 친구들과 놀기에 바쁘다. 그런데 테미스토클레스는 광장인 아고라의 연단으로 나선 성인 정치인들처럼 장황하고 격정적인 연설에 열중했다. 게다가 그냥 심심풀이 차원에서 장난삼아 하는 연설이 아니었다. 사전에 정성스럽게 작성해 꼼꼼하게 퇴고한 자필 연설문에 바탕한 웅변이고 사자후였다. 연설 연습은 당시의 아테네 사회에서는 고시 공부에 준하는 위치를 점했고, 그만큼 꾸준한 노력과 지독한 인내력을 필요로 했다.</p><p>&nbsp;</p><p>대신에 그는 인격을 도야하고 교양을 함양하는 학업에는 좀처럼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웬만한 공부 잘하는 소년들이라면 능숙하게 연주할 수 있는 현재의 하프 비슷한 악기를 그가 다루지 못하게 된 배경이었다.</p><p>&nbsp;</p><p>테미스토클레스는 “교양 없고 무식하다”는 비판을 들어도 쟁쟁한 명문가 태생이거나 혹은 유복한 중산층 가정에서 자라난 기성 엘리트들과는 다르게 부끄러운 기색을 전연 내비치지 않았다. 그는 “나는 악기는 다룰 줄 몰라도 위대한 도시들과 거대한 국가들은 확실히 다룰 줄 안다”고 되레 큰소리를 뻥뻥 쳐댔다. 테미스토클레스는 입지전을 이뤘다는 측면에선 김대중(DJ)을 닮았지만, 체면과 품격을 중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는 김영삼(YS)과 유사했다.</p><p>&nbsp;</p><p>테미스토클레스는 성실하고 부지런했으되,&nbsp;신중하고 절제력 있는 소년은 아니었다.&nbsp;매우 충동적이고 즉흥적이었다.&nbsp;한마디로,&nbsp;욱하는 성격이었다.</p><p><br></p><p>그럼에도 테미스토클레스가 비행에 물들지 않고 무탈하게 어른이 될 수 있었던 데에는 가슴속 커다란 야망과 남달리 명민한 머리가 큰 역할을 했다.</p><p><br></p><p>일설에는 아들의 과도한 야심에 불안해진 테미스토클레스의 아버지가 그를 바닷가로 데려가 이제는 쓸모없는 폐선이 돼버린 퇴역한 낡은 전함들을 손가락으로 가리켜며 권력을 잃은 정치인을 기다리는 비극적 말로를 경고했다고도 한다. 예나 지금이나 자식의 불안한 미래를 걱정하는 모든 평범한 아버지들은 정치인이 되려는 아들딸을 일단은 무조건 완강히 말리는 법이다.</p><p><br></p>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33634
  • 기사등록 2020-10-13 18:45:55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서울-여수, 물길로 잇는다…세계 최초 '여수섬박람회' 성공 위해 손잡아 서울시가 2026년 9월 여수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초 '여수 세계섬박람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전남도, 여수시와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서울시는 7일 오전 11시 10분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오세훈 서울시장과 박람회 공동조직위원장인 김영록 전남도지사, 정기명 여수시장, 박수관 ㈜YC Tec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시-여수세계섬박...
  2. DMZ에 봄이 왔나 봄… 복수초 개화, 봄 알리는 신호탄 DMZ에 봄이 찾아왔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3월 11일,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에 위치한 DMZ자생식물원에서 북방계 식물인 복수초가 개화했다고 밝혔다. 겨우내 쌓였던 눈이 녹으면서 복수초가 피어나 DMZ에도 봄이 왔음을 알렸다.복과 장수를 상징하는 복수초는 새해 들어 가장 먼저 꽃을 피워 봄의 전령으로 불린다. DMZ자생식물원의 복수초는 ..
  3. 기상청, 제42회 기상기후 공모전 수상작 40점 발표 기상청은 &#39;제42회 기상기후 사진&middot;영상 공모전&#39; 수상작 40점을 3월 12일 기상청 누리집과 공모전 누리집을 통해 발표했다. 한 달여간 진행된 이번 공모전에는 총 3,509점의 작품이 접수되었으며, 이 중 사진 부문 37점, 영상 부문 3점 등 총 40점의 작품이 최종 선정됐다. 사진 부문 상위 7개 작품은 심사위원단의 점수(50%)와 국...
  4. 승차권 취소 수수료 기준 개편… 고속버스 이용 효율성 높인다 정부가 고속버스 이용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승차권 취소 수수료 기준을 개편한다. 이번 개편안은 오는 5월부터 시행되며, 평일, 휴일, 명절 간 수수료 기준을 차등 적용하고 출발 후 취소 수수료를 단계적으로 인상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현재 고속버스는 평일, 휴일 구분 없이 출발 전 최대 10%, 출발 후 30%의 취소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 ..
  5. 2027년부터 지방공무원 공채시험 대폭 개편… 7급 PSAT 도입, 9급 한능검 대체 2027년부터 지방공무원 공채시험이 대폭 개편된다. 행정안전부는 지방공무원의 직무 역량을 강화하고 수험생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지방공무원 임용령」 및 「지방연구지도직규정」 일부 개정안을 19일부터 입법 예고한다고 밝혔다.이번 개정안의 핵심은 7급 공채시험에 공직적격성평가(PSAT)를 도입하고, 9급 공채시험의 한국사 과목을 ...
포커스 뉴스더보기
책-퇴진하라
책-보수의종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