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갤럽] 한국인 열 명 중 여덟 명, '미세먼지 때문에 불편하다' - '매우 불편' 응답: 2014년 45% → 2017년 5월 57% → 2019년 1월 57% - 미세먼지 나쁨 예보 시 '외출 자제' 47% vs '상관없이 외출한다' 53% - '국내 발생 더 많다' 8% vs '국외 유입 더 많다' 64%, '국내·국외 비슷' 22%

이승민 기자

  • 기사등록 2019-01-25 21:55:57
기사수정

국민 10명 중 8명은 평소 미세먼지로 인해 불편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세먼지의 원인이 국내보다 국외에 있다고 생각하는 국민도 60%가 넘었다.


한국갤럽이 22~24일 전국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미세먼지로 인한 불편함 정도를 물은 결과 '불편하다'는 응답자가 81%에 달했다. 사진은 지난 1월 14일 미세먼지로 뒤덮인 서울 여의도의 모습. 2019.1.14 최인호 기자한국갤럽이 지난 22일부터 24일까지 사흘간 전국 성인 1,002명에게 미세먼지로 인한 불편함 정도를 물은 결과 ‘매우 불편하다’ 57%, ‘약간 불편하다’ 24%로, 우리 국민 열 명 중 여덟 명(81%)이 미세먼지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별로 불편하지 않다'는 14%, '전혀 불편하지 않다'는 4%였고 1%는 의견을 유보했다.


미세먼지 때문에 '매우 불편하다'는 응답은 2014년 2월 45%에서 2017년 5월 57%로 3년여 만에 12%포인트 늘었고, 2019년 1월 이번 조사에서도 2년 전과 동일한 57%를 기록했다. 


◇미세먼지 나쁨 예보 시 '외출 자제하는 편' 47% vs '상관없이 외출하는 편' 53%


미세먼지 나쁨 예보 시 '외출 자제하는 편' 47% vs '상관없이 외출하는 편' 53%미세먼지 나쁨 예보가 있을 때 외출 여부에 대해서는 47%가 '외출을 자제하는 편', 53%는 '상관없이 외출하는 편'이라고 답했다. 이는 직업별 차이가 컸다. 가정주부는 67%가 '외출을 자제하는 편'인 반면 자영업·블루칼라·학생 등은 60~70%가 '상관없이 외출한다'고 답했다.이는 2014년이나 2017년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결과다. 정부와 보건 전문가들은 고농도 미세먼지 예보가 있는 날 마스크 착용이나 외출 자제를 권고하지만, 생업(生業) 특성상 외출을 삼가기 어려운 이들이 적지 않음을 보여준다. 참고로 자영업·블루칼라 직군은 절반이 50대 이상이며, 학생은 대부분 20대다. 가정주부 중에서는 40대 이하가 29%, 50대 22%, 60대 이상이 49%를 차지한다. 


◇미세먼지 나쁨 예보 시 '마스크 착용하는 편': 2014년 29% → 2017년 37% → 2019년 53%

미세먼지 나쁨 예보가 있을 때 마스크 착용 여부에 대해 물은 결과 성인의 53%가 '착용하는 편', 45%는 '착용하지 않는 편'이라고 답했다. 미세먼지 방지용 마스크를 '착용하는 편'이라는 응답은 2014년 2월 29%, 2017년 5월 37%, 2019년 1월 53%로 약 5년 만에 갑절이 됐다.

미세먼지 나쁨 예보 시 '마스크를 착용하는 편'이라는 응답은 여성(61%), 20·30대(60% 중반)에서 상대적으로 많았고 '착용하지 않는 편'이라는 응답은 40·50대 남성(61%·65%), 자영업(58%)에서 두드러졌다.

성인 두 명 중 한 명이 미세먼지 나쁨일 때 마스크를 착용하는 편이라고 답했으나, 실제 거리에서는 마스크 착용자가 그보다 적게 눈에 띈다. 한국갤럽은 그 이유를 미세먼지를 조심하는 사람들은 마스크에 의지해 외출하기보다 아예 집에 머무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봤다. 


미세먼지 나쁨 예보 시 외출을 자제하는 사람들(467명) 중 67%가 외출 시 마스크를 착용한다고 답한 반면, 상관없이 외출하는 사람들(530명) 중에서는 그 비율이 41%다.


◇마스크 미착용 이유: '필요성 못 느껴서' 20%, '불편해서' 18%, '귀찮아서' 15%

마스크 미착용 이유: '필요성 못 느껴서' 20%, '불편해서' 18%, '귀찮아서' 15%

미세먼지 나쁨 예보가 있을 때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는 편이라고 답한 450명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 '필요성 못 느낌/안 써도 괜찮을 것 같아서' 20%, '불편하다' 18%, '귀찮다/번거롭다' 15%, '답답하다' 13%가 절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밖에 '외출 안 함/주로 실내 생활/단거리 이동' 6%, '안경 때문에 불편/안경 김서림', '업무상/일 때문에'(이상 4%), '익숙하지 않다/습관 안 됨', '마스크 효과 없다/성능 의심', '마스크가 비싸다', '구입 어렵다/마스크가 없다'(이상 3%), '신경 쓰기 싫다', '미용상/보기 안 좋아서/화장 때문'(이상 2%) 순으로 나타났다.

마스크 미착용 이유를 크게 분류하면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절반 가량 차지하고, 그다음은 착용 필요성을 낮게 보는 경우와 외적 요인 때문에 착용이 불가한 경우라 할 수 있다. 


◇가구 내 공기청정기 사용률: 2006년 15% → 2017년 37% → 2019년 44%

실외 미세먼지 상태와 실내 공기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공기청정기 사용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번 조사에서 가구 내 공기청정기 사용 여부를 물은 결과 44%가 사용한다고 답했다. 2006년 조사에서는 15%, 2017년은 37%였다.

가구 내 공기청정기 사용률을 연령별로 보면 30대에서 64%로 가장 높고 40대 53%, 50대 45%, 20대와 60대 이상이 30% 내외로 낮은 편이다. 


생활수준별로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상/중상층의 가구 내 공기청정기 사용률은 66%며 중층은 48%, 중하층은 39%며 하층은 22%로 가장 낮다. 참고로 생활수준 상/중상·중·중하층의 연령별 분포는 거의 비슷하지만 하층에서는 40대 이하가 28%, 50대 26%, 60대 이상이 47%를 차지한다.

단, 공기청정기는 상황에 따라 상시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이번 조사에서 파악된 사용률은 보유율과 일부 다를 수 있다. 가구별 몇 대의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지까지는 파악하지 않았으나, 업계에 따르면 기존 사용 가구가 추가로 구입하는 사례도 늘어 당분간 특수(特需)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겨울철 미세먼지 주 발생원 인식:
'국내 발생이 더 많다' 8% vs '국외 유입이 더 많다' 64%, '국내·국외 비슷' 22%


겨울철 미세먼지 발생 원인에 대해선 64%가 '국외 유입이 더 많다'고 답해 중국 등 외부요인이 크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발생이 더 많다'는 7%에 불과했다. 


겨울철 미세먼지 주 발생원으로 국내 발생과 국외 유입 중 어느 쪽이 더 많다고 보는지 물은 결과, 성인의 64%가 '국외 유입이 더 많다'고 답했으며 '국내 발생과 국외 유입이 비슷하다' 22%, '국내 발생이 더 많다'는 8%에 그쳤다. 6%는 의견을 유보했다.

미세먼지 주 발생원은 주변국 공조 연구를 통해 과학적으로 밝힐 사안이지만, 추후 마련될 정책에 대한 공감도는 다수 국민의 인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참고할 만한 자료다. 


우리나라 미세먼지 발생원은 크게 중국 등 국외에서 유입되는 것과 발전소·공사장·차량·실내 등 국내에서 배출되는 것으로 구분된다. 전문가들은 기본적으로 계절별, 지역별 차이가 있고 아침저녁 대기 상황에 따라서도 영향 요인이 달라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미세먼지 문제는 어느 한 나라에 국한되지 않으므로 한·중 양국, 한·중·일 삼국 환경회의를 통해 공동 연구와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3110
  • 기사등록 2019-01-25 21:55:57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미아동 345-1 일대, 25층 규모 주거단지로 재탄생… 신속통합기획 확정 서울시는 23일, 수십 년간 개발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던 강북구 미아동 345-1 일대에 대한 신속통합기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획을 통해 해당 지역은 북한산 경관을 살린 조망과 녹지축을 기반으로, 25층 내외의 아파트 1,200세대 규모의 주거단지로 탈바꿈할 전망이다.시는 이번 개발이 지역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주변과의 조화...
  2. “경기도 접경지, 버려진 집을 핫플로! 재탄생(Reborn)” 경기도는 접경지역의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접경지역 시군과 협력해 2025년도 빈집 정비사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도는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7개 시군(고양, 파주, 김포, 양주, 포천, 동두천, 연천)에서 신청한 117개 가운데 정비 기준에 맞는 대상지 32개를 최종 선정해 빈집 정비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선정된 대상지.
  3. 공장 보유 중소·중견기업 중 19.5%만 스마트공장 도입…대부분 기초단계 중소벤처기업부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28일 「제1차 스마트제조혁신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2023년 7월) 이후 처음 실시된 것으로, 중소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 현황을 파악했다.실태조사 결과, 공장을 보유한 중소·중견 제조기업 163,273개사 중 스마트공장을...
  4. 서울시, 부동산 교란행위 70건 적발…“투기 수요 끝까지 추적” 서울시는 부동산시장 혼란을 유발하는 교란행위 근절을 위해 공인중개사무소 현장점검을 실시한 결과 70건의 의심거래를 적발했으며, 자금출처 조사 등 정밀조사와 함께 위법사항 발견 시 강력 대응에 나선다고 1일 밝혔다.서울시는 최근 마포, 성동, 광진, 강동 등 서울 전역의 공인중개사무소를 대상으로 ▲집값 담합 ▲허위계약 신고 ▲..
  5.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더욱 편리하고 친절해진 서비스 제공 국세청이 5월 종합소득세 신고·납부 기간을 맞아 납세자 편의를 대폭 강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4월 25일부터 신고 안내문을 모바일로 발송하며, 모두채움 안내문을 통해 가산세 걱정 없이 쉽게 신고할 수 있게 됐다.2024년도에 종합소득이 있는 개인은 2025년 6월 2일까지 신고·납부해야 하며, 세무서 방문 없이 홈택스(PC), ...
포커스 뉴스더보기
책-퇴진하라
책-보수의종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