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욱 기자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올해 4월 1일부터 `도료 함유 휘발성유기화합물 면제물질 목록`에서 `파라-클로로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를 제외하도록 행정예규를 개정한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올해 4월 1일부터 `도료 함유 휘발성유기화합물 면제물질 목록`에서 `파라-클로로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를 제외하도록 행정예규를 개정한다.
환경부는 초미세먼지 및 오존 전구물질인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량을 저감하기 위해 2005년부터 도료에 함유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함유량을 규제*해 왔다.
다만, 도료업계의 제조기술 등을 고려하여 대기환경영향(오존생성능력), 인체유해성, 분석방법 등에 대한 검토를 거쳐 면제물질을 지정하고, 함유량 산정 시 제외해 왔다.
그러나 최근 국내외에서 면제물질 중 하나인 `파라-클로로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에 대한 유해성*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해당 물질에 대한 면제물질 적합성을 재검토하여, 면제물질에서 지정 해제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전문가 회의를 통해 파라-클로로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의 면제물질 지정해제 필요성을 검토했고, 업계간담회와 사전행정예고를 통한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관련 행정예규를 개정했다.
아울러 4월 1일부터 제조 및 수입되는 도료는 도료 중 휘발성유기화합물 함유량 산정 시 `파라-클로로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 사용량을 포함하여 기준치 초과 여부를 판단받는다.
기존에 `파라-클로로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를 면제물질로 사용하여 제조 및 수입된 도료는 올해 9월 30일까지만 공급·판매하거나 판매의 목적으로 진열 또는 보관할 수 있다.
정은해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인체유해성이 제기된 `파라-클로로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에 대한 면제물질 지정해제는 국민의 건강과 대기환경보전을 위한 선제적 조치"라며,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주요 배출원인 도료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