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금융당국, 스톡옵션 ‘먹튀’ 막기 위해 상장규정 개정 - 상장 후 바로 팔지 못하게 의무보유기간 늘리도록 유도

김치원 기자

  • 기사등록 2022-02-22 15:04:14
기사수정

카카오페이 일부 임원의 주식매수청구권(스톡옵션) ‘먹튀’로 촉발된 스톱옵션 행사 문제에 대한 대응책이 나왔다.


카카오페이의 류영준 전 대표를 비롯한 임원 8명이 회사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지 한 달여만에 스톡옵션으로 받은 주식 44만993주를 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해 약 878억원의 차익을 챙기면서 논란이 일었다. 이에 카카오페이 주식을 샀던 투자자가 ‘먹튀’라며 분노했고, 카카오페이 직원들까지 박탈감을 호소했다. 결국 작년 11월 카카오의 공동대표로 내정됐던 류 전 대표는 스스로 자리를 내놨다.


이런 사례를 막기 위해 앞으로는 주식시장에 상장하기 전에 회사가 임직원에게 부여한 스톡옵션은 상장 직후 행사되더라도 상장 전에 행사해 발행된 주식과 같은 기간까지 팔 수 없게 된다.


22일 금융위원회는 한국거래소가 이 같은 내용을 담아 개정하는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 상장규정 및 공시서식이 다음 달 중 증권선물위원회와 금융위원회의 승인을 거쳐 시행된다고 밝혔다.


금융위원회는 22일 스톡옵션 ‘먹튀’를 막기 위해 상장규정 개정에 나선다고 밝혔다.(사진=김치원 기자)우선 상장 전에 부여받은 주식매수선택권을 상장 이후 행사해 의무보유기간 설정을 회피하는 꼼수를 막는다. 상장 전에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한 임직원의 주식에 붙은 의무보유기간을 함께 적용받도록 하는 방안을 통해서다.


예를 들어 상장 전 권리를 행사한 임원의 주식에 6개월의 의무보유기간이 설정됐다면, 다른 임원은 상장 이후 어느 시점에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하더라도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 지나기 전에는 주식을 팔 수 없게 된다.


이에 더해 금융당국은 상장 예정 기업이 자발적으로 임직원의 의무보유기간을 늘리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6개월의 의무보유기간은 현행 규정이 정하고 있는 최소의 기간이지만, 대부분의 신규 상장 기업이 모든 의무보유 대상자에게 보유 기간을 일률적으로 6개월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은 임원에 따라 의무보유기간을 추가로 최장 2년을 더 설정할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갈 방침이다. 대신 임직원별로 추가 의무보유기간을 차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의무보유 대상으로 '상법상 업무집행지시자’가 추가된다. 현재는 이사, 감사, 상법상 집행임원만 의무보유 대상자로 규정돼 있다. 업무집행지시자는 회사의 이사가 아니면서 회장, 사장, 부사장 등 회사의 업무를 집행할 권한이 있는 것으로 인정될만한 명칭을 사용해 회사의 업무를 집행한 자다.


의무보유기간을 회피하는 걸 막거나, 책임 있는 임원의 의무보유기간을 늘리는 조치는 카카오페이 전·현직 경영진의 사례와 같은 '스톡옵션 먹튀' 논란의 재발을 막기 위한 조치이다.


금융위는 새롭게 개편된 의무보유제도 관련 사항이 공시될 수 있도록 증권신고서 관련 서식의 개정도 병행해 추진할 계획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29890
  • 기사등록 2022-02-22 15:04:14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미아동 345-1 일대, 25층 규모 주거단지로 재탄생… 신속통합기획 확정 서울시는 23일, 수십 년간 개발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던 강북구 미아동 345-1 일대에 대한 신속통합기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획을 통해 해당 지역은 북한산 경관을 살린 조망과 녹지축을 기반으로, 25층 내외의 아파트 1,200세대 규모의 주거단지로 탈바꿈할 전망이다.시는 이번 개발이 지역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주변과의 조화...
  2. 공장 보유 중소·중견기업 중 19.5%만 스마트공장 도입…대부분 기초단계 중소벤처기업부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28일 「제1차 스마트제조혁신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2023년 7월) 이후 처음 실시된 것으로, 중소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 현황을 파악했다.실태조사 결과, 공장을 보유한 중소·중견 제조기업 163,273개사 중 스마트공장을...
  3. “경기도 접경지, 버려진 집을 핫플로! 재탄생(Reborn)” 경기도는 접경지역의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접경지역 시군과 협력해 2025년도 빈집 정비사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도는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7개 시군(고양, 파주, 김포, 양주, 포천, 동두천, 연천)에서 신청한 117개 가운데 정비 기준에 맞는 대상지 32개를 최종 선정해 빈집 정비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선정된 대상지.
  4. 서울시, 부동산 교란행위 70건 적발…“투기 수요 끝까지 추적” 서울시는 부동산시장 혼란을 유발하는 교란행위 근절을 위해 공인중개사무소 현장점검을 실시한 결과 70건의 의심거래를 적발했으며, 자금출처 조사 등 정밀조사와 함께 위법사항 발견 시 강력 대응에 나선다고 1일 밝혔다.서울시는 최근 마포, 성동, 광진, 강동 등 서울 전역의 공인중개사무소를 대상으로 ▲집값 담합 ▲허위계약 신고 ▲..
  5.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더욱 편리하고 친절해진 서비스 제공 국세청이 5월 종합소득세 신고·납부 기간을 맞아 납세자 편의를 대폭 강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4월 25일부터 신고 안내문을 모바일로 발송하며, 모두채움 안내문을 통해 가산세 걱정 없이 쉽게 신고할 수 있게 됐다.2024년도에 종합소득이 있는 개인은 2025년 6월 2일까지 신고·납부해야 하며, 세무서 방문 없이 홈택스(PC), ...
포커스 뉴스더보기
책-퇴진하라
책-보수의종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