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원 기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움직임에 따라 은행권이 우대금리를 축소하는 한편, 대출금리를 올리면서 금융소비자들이 은행에서 돈을 빌리기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가계빚을 줄이기 위한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에 보조를 맞췄던 은행들의 금융당국 눈치보기가 더욱 심해졌다.
일단, 시중은행들은 우대금리 축소·폐지가 급증하는 가계빚을 줄이려는 금융당국의 정책방향에 맞춰져 있다는 입장이다.
19일 시중은행들은 가계대출 총량관리라는 당국의 목표에 맞춰서 가계 대출 증가량을 조절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일부 대출의 우대금리를 낮춘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시중은행들은 최근의 우대금리 축소·폐지가 급증하는 가계빚을 줄이려는 금융당국의 정책방향에 맞춰져 있다는 입장이다. (사진=팍스뉴스 자료실)은행들이 우대금리를 낮추는 조치를 취한 것은 올해 하반기 개인 신용대출 한도를 연소득 범위 이내로 제한하고 마이너스통장 한도도 5000만원 수준으로 축소하는 등 대출관리 강화에 나서면서부터다.
5대 시중은행이 지난 6월 이후 축소한 약 0.08%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원상복귀 하는 것만으로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현행(10월 말 기준)3.42% 수준에서 3.34% 수준으로 낮아진다.
하지만 은행들이 이를 선뜻 결정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대출금리 급등 분위기 속에 조금이라도 낮은 이자를 찾아 거래 은행을 바꾸는 사례가 늘고 있어 우대금리를 다시 활성화할 경우 대출쏠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서다.
금융당국이 요구해온 대출증가율 권고치를 지키지 못하면 관리를 제대로 못한데 대한 책임을 져야 하는 점도 부담이다.
대출금리 산정체계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면 일정 부분 변화도 예상된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대출금리 산정체계의 투명성과 합리적 운영을 강조하기 위해 이날 오후 8개 시중은행 여신담당 부행장을 소집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