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아테네의 강남좌파 아리스테이데스 (6) - 테미스토클레스의 함정을 교묘히 피해가다

공희준 편집위원

  • 기사등록 2019-10-28 10:51:19
기사수정

고대 중국의 병법가 손자는 “싸우지 않고 이기는 길이 최고의 작전”이라고 말했다. 고대 아테네의 테미스토클레스는 싸우지 않고 페르시아에 이기는 전략을 쓰면서 숙적인 아리스테이데스도 함정에 넣는 일석이조를 노렸다.모든 장군들이 작전계획에 따라 부지런히 움직이는 동안 아리스테이데스는 소수의 병력을 이끌고 프쉿탈레이아에 상륙했다. 살라미스 해협에 자리 잡은 이 자그마한 섬을 개미떼처럼 가득 메우고 있는 페르시아 병사들을 소탕하려는 목적에서였다. 그는 페르시아에서 온 이 불청객들을 간단히 제압한 다음 아주 귀한 손님 몇 사람을 포로로 잡아왔다. 왕의 누이가 낳은 세 아들이었다.


그는 생포한 대왕의 조카들을 즉시 테미스토클레스에게 보냈다. 스스로의 전공을 뽐내기 바랐다면 그들을 수중에 계속 움켜쥐고 있었으리라. 진정한 업적은 자가발전을 하지 않는다. 대신에 다름 사람들에 의해 빛내지기 마련이다. 아테네인들은 나중에 이 섬에 승전비를 세움으로써 아리스테이데스의 용맹함과 겸손함에 경의를 표했다.


살라미스 앞바다에서의 해전은 아테네 해군을 주축으로 한 그리스 연합함대의 대승으로 끝났다. 전투의 종식은 아리스테이데스를 향한 테미스토클레스의 질투와 경계심이 다시 발동됨을 뜻했다. 그는 아리스테이데스에게 현재는 다르다넬스 해협으로 알려진 헬레스폰토스 해협으로 가서 그곳에 설치된 페르시아군의 부교를 파괴할 것을 종용했다. 부교를 끊는 일에 성공해도 좋고, 만약 실패해도 그 책임을 경쟁자에게 돌릴 수 있어서 좋다는 식이었다.


테미스토클레스의 속내를 꿰뚫어본 아리스테이데스는 만약 아시아로 돌아갈 수 있는 길이 막히면 그리스에 침입한 페르시아의 대군이 자포자기의 심정으로 미쳐 날뛸 것이 분명하다며 부교파괴 작전에 대한 반대의사를 완곡히 표현했다.


사실 테미스토클레스도 부교를 파괴하는 일이 그리 급하거나 중요하다고 여기지는 않았다. 살라미스 해협에서의 해전 계획은 일종의 배수진과 마찬가지 발상이었다. 그런데 헬레스폰토스의 부교가 사라지면 페르시아군 측에서 전군이 옥쇄할 각오로 되레 배수진을 칠지도 몰랐다.


그는 아테네 군영에 포로로 잡혀 있는 왕의 내관인 아르나케스를 크세르크세스의 본진으로 돌려보냈다. 그리스인들이 부교를 불태우려고 궁리했다가 테미스토클레스의 만류로 포기했다는 은밀한 전갈과 함께였다. 페르시아 전쟁은 무기의 싸움과 더불어 머리싸움이기도 했다.


테미스토클레스의 귀띔은 싸우지 않고 적을 몰아내는 절묘한 계책이었다. 낯선 유럽 땅에서 오도 가도 못하게 될 수도 있다는 생각에 잔뜩 겁을 집어먹은 크세르크세스는 본국으로의 귀국길을 서둘렀다. 하지만 그냥 순순히 돌아가기는 조금 섭섭했는지 그는 맹장 마르도니오스 휘하의 300명의 육군 정예부대를 뒤에 남겨놓았다.


이후의 전황을 추측해보건대 이들은 전 병력이 300명이 아니라 장교들의 숫자가 삼백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패잔병 아닌 패잔병 무리에는 조국을 배반한 그리스인들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을 테니 실제로는 엄청난 규모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28247
  • 기사등록 2019-10-28 10:51:19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우원식 국회의장, 한덕수 권한대행 대정부질문 불출석에 '강력 경고' 우원식 국회의장이 14일,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이 국회 대정부질문에 불출석한 것에 대해 "국민이 지켜보고 있다. 이런 무책임한 태도가 반복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우 의장은 이날 오후 열린 제424회 국회(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오늘 국무총리가 일방적으로 불출석했다. 양 교섭단체의 양해도 없었고 .
  2. 오세훈 시장, '땅꺼짐' 불안 잠재우기 총력… 철도 건설 현장 GPR 탐사 '강도 높은 안전 대책' 가동 오세훈 서울시장이 최근 잇따른 지반 침하 사고와 봄철 인파 밀집으로 인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14일(월) 오후 2시, 서울시청 집무실에서 긴급 안전점검 회의를 주재하고, 관련 부서에 철저한 점검과 신속한 조치, 원인 규명에 총력을 기울여 안전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문했다.이날 회의는 오 시장을 비롯해 행정 1·2&mi...
  3. “경기도 접경지, 버려진 집을 핫플로! 재탄생(Reborn)” 경기도는 접경지역의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접경지역 시군과 협력해 2025년도 빈집 정비사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도는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7개 시군(고양, 파주, 김포, 양주, 포천, 동두천, 연천)에서 신청한 117개 가운데 정비 기준에 맞는 대상지 32개를 최종 선정해 빈집 정비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선정된 대상지.
  4. 미아동 345-1 일대, 25층 규모 주거단지로 재탄생… 신속통합기획 확정 서울시는 23일, 수십 년간 개발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던 강북구 미아동 345-1 일대에 대한 신속통합기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획을 통해 해당 지역은 북한산 경관을 살린 조망과 녹지축을 기반으로, 25층 내외의 아파트 1,200세대 규모의 주거단지로 탈바꿈할 전망이다.시는 이번 개발이 지역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주변과의 조화...
  5. 공장 보유 중소·중견기업 중 19.5%만 스마트공장 도입…대부분 기초단계 중소벤처기업부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28일 「제1차 스마트제조혁신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2023년 7월) 이후 처음 실시된 것으로, 중소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 현황을 파악했다.실태조사 결과, 공장을 보유한 중소·중견 제조기업 163,273개사 중 스마트공장을...
책-퇴진하라
책-보수의종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