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원 기자
불로소득을 좇아 부나비처럼 증시에 덤벼드는 20대 젊은층이 늘어나면서 이들의 '빚내서 주식투자(빚투)' 규모가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20대 연령층의 증권사 신용융자 잔고가 코로나19 이후 1년 반만에 4배 넘는 규모로 불었다. 신용융자는 개인투자자에게 제공하는 주식 매수대금 융자를 뜻한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아 15일 공개한 10개 주요 증권사의 신용융자 현황을 보면 올해 6월 말 기준으로 만 19세 이상 29세 미만의 신용융자잔고는 5324억원으로 집계됐다.
10대 증권사의 6월 말 기준 20대 신용융자잔고는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하기 전 2019년 말과 비교해 4.3배로 급증했다.
불로소득을 좇아 부나비처럼 증시에 덤벼드는 20대 젊은층이 늘어나면서 이들의 '빚내서 주식투자(빚투)' 규모가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사진=한국거래소)20대 신용융자 이용자는 1만3893명으로 1년반만에 2.9배가 됐다. 10대 증권사의 신용융자 차주(대출자)의 비중도 2019년 말 3.5%에서 5.8%로 확대됐다.
30대(만 29세 이상 39세 미만)의 신용융자잔고도 1조590억원에서 2조8973억원으로 2.7배로 급증했으며, 이용자수는 2만1425명에서 4만661명으로 90% 증가했다.
전 연령대 신용융자잔고는 19조8824억원으로 2019년 말의 2.6배 수준이다.
은행보다는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신용융자 이용자가 늘며 20·30세대의 연체잔액도 늘고 있다. 20대와 30대 신용융자 이용자의 각각 92%와 94%가 5%가 넘는 이자를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