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원 기자
서울 명동, 이태원, 홍대앞 번화가 등 쇼핑 일번지들이 코로나19의 연이은 창궐 여파로 폐업률이 높아져 상가 공실이 늘고 있다.
서울 명동, 이태원, 홍대앞 번화가 등 쇼핑 일번지들이 코로나19의 연이은 창궐 여파로 폐업률이 높아져 상가 공실이 늘고 있다. (사진=팍스뉴스 자료실)
특히 서울 대표 쇼핑 핫 플레이스인 명동도 적잖은 타격을 받고 있다. 이곳 주요 고객인 외국인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상권 내 소규모 상가 절반이 문을 닫고 있다.
28일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국의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13.1%로, 1분기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소규모 상가와 오피스 공실률은 각각 6.4%, 11.1%로 1분기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서울의 경우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9.5%, 소규모 상가는 6.5%로 조사됐다. 외국인 관광객 감소에 따른 폐업 증가로 명동 상권의 소규모 상가 공실률이 43.3%에 달했고, 이태원 상권의 공실률은 31.9%, 홍대·합정 상권은 22.6%로 집계됐다.
지방의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울산이 20.9%로 가장 높았다. 이어 세종 20.1%, 경북 18.8%, 충북 17.7%, 전북 16.8%, 대구 16.6%, 경남 15.3%, 충남 15.2%, 강원 14.1%, 부산 14.0% 등이 평균 공실률(13.1%)을 상회했다.
빈 상가가 늘면서 이를 채우기 위해 상가 주인들은 임대료를 낮추고 있다.
2분기 전국의 ㎡당 중대형 상가 임대료는 1분기 대비 0.21% 하락한 2만5500원이다. 소규모 상가는 1만9100원, 집합상가는 2만7000원으로 1분기 대비 각각 0.21%, 0.15% 하락했다. 다만, 오피스 빌딩의 공실률은 전국 기준 11.1%로 전분기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