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원 기자
코로나19 직격탄으로 경영상 유례없는 애로를 겪고 있는 항공업계가 다음 달 종료 예정인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기간에 대한 연장 요청에 나서고 있다.
항공업계는 아직까지 국제선 여객기 운항률이 극히 저조하고 조종사·승무원들의 고용안정성을 위해선 지원 기간 연장이 절실하다고 강변하고 있다.
1일 한국항공협회는 전날 고용노동부에 '항공업계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기간 연장 건의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항공업계는 한 목소리로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어려움에 처한 항공업 종사자들의 생계유지 여건을 감안할 때, 노사합의에 따라 일정 수준의 임금보전이 가능한 유급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기간 연장이 절실하다고 토로했다.
항공협회에 따르면 현재 국내 대다수의 여객운송 항공사는 올해 1월부터 정부의 유급 고용유지지원금을 신청, 지원받고 있다. 하지만 고용보험법에 따라 현재 운영 중인 고용유지지원금의 지급 기한이 최장 180일로 제한돼 있어 6월 말이면 종료될 예정이다.
고용유지지원금은 고용조정이 불가피해진 사업체의 고용유지조치를 위해 휴업·휴직 수당 일부를 정부에서 지원하는 제도로, 유급휴직은 정부가 평균 임금의 70% 수준의 휴업 수당 중 90%를 지원하고, 기업이 나머지 10%를 부담하게 된다.
정부는 지난해 9월 코로나19 장기화로 연간 180일로 제한한 고용유지지원금의 지원 기간을 240일로 한시 연장한 바 있다. 하지만 고용노동부는 지난달 25일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기간 연장에 대해 결정한 사항이 없다고 고시했다.
정부가 지급 기간 연장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자 항공업계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다음 달부터 지원금이 끊기면 무급휴직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항공협회뿐만 아니라 한국민간항공조종사협회와 전국항공산업노동조합연맹 등 노동자들 역시 지난달 정부에 고용유지지원금을 포함한 고용안정 지원 확대를 요구하고 나선 이유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