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원 기자
승용차와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전선이 ‘쾌청’하면서 지난 3월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흑자가 78억2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작년 같은 기간과 견줘보면 흑자폭은 18억8000만 달러 확대됐다.
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3월 및 1분기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올해 3월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78억2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8억8000만 달러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로써 경상수지는 지난해 5월 이후 11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하게 됐다.
수출과 수입의 차를 의미하는 상품수지 흑자는 79억2000만달러였다. 지난해 3월(69억6000만달러)에 비해 흑자폭이 9억6000만달러 늘었다.
수출은 543억8000만달러를 기록 전년동월(459억달러) 대비 18.5%(84억8000만달러) 증가했다. 글로벌 교역 회복세로 승용차, 반도체, 화공품 등 주력 품목 위주로 수출이 늘며 5개월 연속 증가세다. 유가 상승으로 석유제품 수출단가가 급등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통관 기준으로 승용차 수출은 1년 전에 비해 14.7%, 석유제품 17.4%, 반도체는 8.3% 증가했다. 화공품은 37.2% 늘었다.
수입은 464억6000만달러로 전년동월(389억4000만달러) 대비 19.3%(75억2000만달러) 늘었다. 원자재 가격 상승, 반도체 설비투자 지속, 가전·승용차 소비 확대 등으로 원자재(15.9%)·자본재(19.4%)·소비재(25.5%)가 모두 증가했다.
서비스수지는 9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전월 75개월만에 흑자를 기록했으나 한달만에 다시 마이너스(-) 전환됐다.
운송 수지 등의 개선으로 전년동월 (-16억5000만)와 비교해 적자폭이 7억4000만 달러 축소됐다. 해상·항공화물 중심으로 운송수입이 크게 늘면서 운송수지가 6억9000만달러 흑자다. 운송수지는 2020년 7월 이후 9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여행수지 적자는 12억5000만달러로 적자폭이 1년전에 비해 10억달러 줄었다. 출국자수 감소폭이 입국자수 감소폭을 상회하고 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