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원 기자
과거 자동입출금기(ATM)로 은행원을 대거 물갈이한 은행업계에 AI뱅커(인공지능 은행원)가 들어설 전망이다.
우리은행은 실제 은행원 수준의 상담이 가능하도록 딥러닝(스스로 학습하는 컴퓨터) 기술을 적용한 AI뱅커를 양성한다.
16일 우리은행은 딥러닝 기반의 영상합성 기술 스타트업 라이언로켓과 AI뱅커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AI뱅커에 특정인물의 외모, 자세, 목소리를 반영해 가상의 은행원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고객의 음성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도 가능하다.
AI뱅커는 직원 연수 프로그램과 사내 방송에 먼저 도입된다. AI교수, AI아나운서가 우선 탄생하는 것이다.
이후 스마트 키오스크 화상상담 업무 등을 하는 AI상담원이 생겨날 예정이다. 실제 우리은행 직원의 외모, 목소리를 반영하게 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AI뱅커를 고도화해 상담원, 심사역, 내부통제 담당 등 다양한 업무가 가능하도록 할 것"이라며 "고객 편의성을 증대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