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원 기자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17일(현지시간) 기준금리 동결과 함께 앞으로 2년 후인 2023년까지 ‘제로 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날 연준은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성명을 내고 기준금리를 현 0.00~0.25%에서 동결한다고 밝혔다. 위원들은 금리 동결에 만장일치로 찬성했다.
또 연준은 향후 FOMC 위원들의 금리 전망을 나타내는 점도표에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금융시장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2023년까지 제로금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이와 함께 연준은 장기금리를 억제하기 위해 매달 1200억 달러에 달하는 자산 매입도 계속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날 연준의 결정은 경제 회복과 물가 상승이 당초 전망보다 빨라지고 있다는 판단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연준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지난해 12월 예측치(4.2%)를 상회하는 6.5%로 전망했다. 내년 성장률 예상치도 종전 3.2%에서 3.3%로 소폭 상향했다.
또한 올해 물가가 상승할 수 있지만 일시적인 현상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준은 올해 물가상승률이 목표치인 2%를 넘어서는 2.4%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한편, 이번 회의에서는 예정보다 금리를 빨리 올릴 것으로 내다본 FOMC 위원이 작년보다 다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점도표를 보면 18명의 FOMC 위원 중 2023년이 끝나기 전에 금리가 올라갈 것이라고 예상한 위원은 지난해 12월 5명에서 이날 7명으로, 2022년에 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한 위원 수는 지난해 12월 1명에서 이날 4명으로 각각 증가했다.
연준의 최근의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완화적 기조를 유지할 태도를 확인하면서 뉴욕증시는 역대 최고치로 올랐다.
이날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89.42포인트(0.58%) 오른 33015.37에 거래를 마쳤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