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산업은행, 경남제약 주가 폭등 대박… ‘28억 횡재’

이승민 기자

  • 기사등록 2015-04-29 10:38:59
기사수정

한국산업은행이 경남제약 주가 폭등으로 대박을 쳤다.

한국산업은행이 2년 전 전환사채(CB)로 투자했던 경남제약 주가가 최근 폭등하면서 주식 매도로 투자금 대비 280%의 이득을 챙긴 것으로 나타났다.

한 때 경남제약 전 대표 등이 허위 매출 내역 기재에 관계됐다는 혐의를 받으면서 경남제약은 주가 급락과 함께 사채 전환가액이 조정, 주식 가치가 희석되는 듯 했지만 최근 경이로운 주가 상승으로 산업은행은 안도 이상의 수혜를 받았다.

2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경남제약 전환사채 총 20억원 규모 중 약 10억원을 주식으로 전환한 뒤 전량 장내 매도해 38억원을 현금화 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실질 투자금 10억원 대비 28억원의 이득을 얻은 셈이다. 나머지 10억원 규모는 산업은행이 여전히 사채로 보유 중이다.

앞서 경남제약은 2013613, 총액 20억원 규모의 사모전환사채를 산업은행에 발행했다. 당시 사채 표면 이자율은 3%, 만기 이자율은 6.9%였다. 전환가액은 주당 637원이었고 산업은행은 경남제약 주식 3139717주에 해당하는 전환사채권을 확보했다.

경남제약은 당해 104일 결손금보전과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보통주와 우선주 80% 감자를 결정했다. 이후 산업은행이 보유한 사채의 전환가능 주식 수는 80만주로 줄었다. 당시 주당가액은 2500원으로 올라 기존 사채권 금액과 같은 총 20억원을 맞췄다.

하지만 경남제약은 지난해 43, 재무제표 허위 기재 혐의로 검찰이 전 대표이사 등을 공소 제기했다고 공시한 뒤 같은 해 6111억원의 벌금 선고를 받았다고 공시하면서 주가가 급락하기 시작했다. 최종적으로 경남제약은 항소를 통해 벌금이 5000만원으로 감형됐다.

당시 경남제약 주가는 611일 종가 2160원에서 6261745원까지 19% 정도 하락했고 611일 이틀 뒤인 13일 산업은행의 사채권 전환가액도 시가하락에 의한 조정에 따라 기존 주당 2500원에서 2229원으로 조정 적용받았다. 조정 전 전환가능주식수도 80만주에서 897263주로 늘었다.

이후 산업은행은 지난 47일 전환청구권을 행사하기로 했다. 행사 주식수는 총 897263주의 절반인 448631주로, 주당 전환가액 2229원인 10억원 규모이다.

이날부터 경남제약 주가는 4거래일 연속 가격 제한폭까지 올랐다. 46일 주당 종가 4500원에서 4107850원까지 74%가 상승했다. 또한 회사의 대표 품목인 레모나가 중국식약청(CFDA) 등록을 눈앞에 두고 있다는 소식이 주가 상승에 기름을 부었다. 특히 레모나 모델인 배우 김수현씨는 중국에서 한류열풍을 몰고 있는 상황이어서 기대감이 더욱 커졌다.

이미 주가는 산업은행이 보유하던 전환사채의 주당 전환가액 2229원을 훌쩍 넘었고 산업은행은 전환 행사하기로 했던 448631주가 422일 상장되면서 매도 행렬을 이어갔다.

그 사이 경남제약 주가는 421일까지 1950원으로 올랐다. 산업은행은 22일부터 27일까지 4차례에 걸쳐 경남제약 보유주식 448631주를 각각 주당 7983~1714원에 장내매도했다. 3833276281원 규모로 산업은행은 전환사채로 투자한 총 금액 20억원 중 주식으로 전환한 10억원 대비 28억원의 이득을 얻은 셈이다.

산업은행이 보유한 나머지 전환사채 만기일은 내년 613일이다. 앞으로 레모나의 중국식약청 등록 등의 호재가 남아 있어 전환청구권 행사 여부에 대한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17057
  • 기사등록 2015-04-29 10:38:59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미아동 345-1 일대, 25층 규모 주거단지로 재탄생… 신속통합기획 확정 서울시는 23일, 수십 년간 개발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던 강북구 미아동 345-1 일대에 대한 신속통합기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획을 통해 해당 지역은 북한산 경관을 살린 조망과 녹지축을 기반으로, 25층 내외의 아파트 1,200세대 규모의 주거단지로 탈바꿈할 전망이다.시는 이번 개발이 지역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주변과의 조화...
  2. “경기도 접경지, 버려진 집을 핫플로! 재탄생(Reborn)” 경기도는 접경지역의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접경지역 시군과 협력해 2025년도 빈집 정비사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도는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7개 시군(고양, 파주, 김포, 양주, 포천, 동두천, 연천)에서 신청한 117개 가운데 정비 기준에 맞는 대상지 32개를 최종 선정해 빈집 정비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선정된 대상지.
  3. 공장 보유 중소·중견기업 중 19.5%만 스마트공장 도입…대부분 기초단계 중소벤처기업부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28일 「제1차 스마트제조혁신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2023년 7월) 이후 처음 실시된 것으로, 중소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 현황을 파악했다.실태조사 결과, 공장을 보유한 중소·중견 제조기업 163,273개사 중 스마트공장을...
  4. 서울시, 부동산 교란행위 70건 적발…“투기 수요 끝까지 추적” 서울시는 부동산시장 혼란을 유발하는 교란행위 근절을 위해 공인중개사무소 현장점검을 실시한 결과 70건의 의심거래를 적발했으며, 자금출처 조사 등 정밀조사와 함께 위법사항 발견 시 강력 대응에 나선다고 1일 밝혔다.서울시는 최근 마포, 성동, 광진, 강동 등 서울 전역의 공인중개사무소를 대상으로 ▲집값 담합 ▲허위계약 신고 ▲..
  5.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더욱 편리하고 친절해진 서비스 제공 국세청이 5월 종합소득세 신고·납부 기간을 맞아 납세자 편의를 대폭 강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4월 25일부터 신고 안내문을 모바일로 발송하며, 모두채움 안내문을 통해 가산세 걱정 없이 쉽게 신고할 수 있게 됐다.2024년도에 종합소득이 있는 개인은 2025년 6월 2일까지 신고·납부해야 하며, 세무서 방문 없이 홈택스(PC), ...
포커스 뉴스더보기
책-퇴진하라
책-보수의종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