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소기업이 보유한 창의적 아이디어 기술을 상용화해 해외시장에 나갈 수 있도록 지원키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중소기업이 보유한 기술과 대학·출연(연) 등이 보유한 기술의 중소기업 이전을 통해 중소기업이 사업화·상용화에 성공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R&D) 지원을 확대한다고 27일 밝혔다.
지난해 R&D 예산중 중소기업 전용 지원예산(국토교통기술사업화 지원 사업)을 신설해 120억 원을 지원한데 이어 올해는 지난해 보다 53% 증가한 184억 원으로 61개 이상의 중소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국토교통기술사업화 지원 사업은 기존에 지원중인 계속과제(32개) 외에 올해 초 112개 과제를 접수 받아 선정평가 등의 과정을 거쳐 29개 신규과제를 선정(평균경쟁률 3.9대 1)했으며 협약체결을 통해 중소기업에게 과제당 10억 원 이내의 R&D 예산을 지원하게 된다.
선정된 대표적인 과제로는 '건식세척기술을 이용한 철도 도상자갈 재생장치 개발」'과 '도로 터널 내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처리장치 개발' 등이다.
'건식세척기술을 이용한 철도 도상자갈 재생장'는 기존 철로 주변의 기름 누유 등으로 오염된 자갈을 물로 씻는 습식세척방식을 개선했다. 모래 등 미세입자를 뿌려 오염된 부분을 깎아내는 건식세척방식의 장치와 처리공정을 개발하는 것으로 습식세척방식 대비 50%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도로 터널 내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처리장치'는 터널 내에서 차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전기집진장치로 처리하던 방법을 개선했다. 미세먼지와 유해가스까지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는 것으로 성공할 경우 터널 내 환경개선에 효과가 클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국토부는 중소기업의 신기술·신제품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 한국도로공사, LH(한국주택토지공사), 지방국토관리청 등 소속 산하기관을 중심으로 '공공구매 협의체'를 구성·운영하고 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